임병선 체육부장
프로야구는 시즌 700만 관중을 넘어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플레이오프(PO) 매진 기록은 지난 20일 열린 4차전 17경기째에서 멈췄다. 1000만 관중을 목표로 내세워야 할 한국야구위원회(KBO)는 되레 몸을 사린다. 경기장 인프라가 개선되지 않으면 한 시즌 모든 경기가 매진되더라도 1040만명밖에 들일 수 없기 때문이다. 지난여름 유난히 비 때문에 경기가 순연되는 일이 많았던 터. 해서 날씨와 관계없이 돔구장에서 야구하고, 지켜보기를 바라는 열망은 커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서울시는 잠실구장을 돔구장으로 리모델링하는 방안을 고집하고 있다. 결국 공사하는 2년 동안 다른 구장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데 내년 말 완공을 목표로 공사 중인 구로구 고척동 구장을 쓰라는 얘기가 된다. 입지는 하늘과 땅 차이다. 서울에서도 막다른 곳이라 고척구장을 홈구장으로 쓰겠다는 서울 연고 구단도 없는 상황이다. 관중석도 2만을 갓 넘어 잠실에 못 미친다. 경기가 끝난 뒤 팬들이 귀가하는데도 엄청난 불편이 따를 것이란 게 KBO의 판단이다.
KBO는 잠실야구장 옆 수영장 자리에 돔구장을 신축하는 방안을 선호하고 있다. 문제는 서울시가 건축비 4000억원의 절반 정도만 부담해 주면 좋겠는데 그럴 생각이 없어 보이는 점. 애초에 아마야구용이었던 동대문구장과 목동구장을 대체할 구장으로 시작한 게 고척구장인 만큼 KBO로선 가기 싫다는 구단의 등을 떠밀 수도 없는 노릇이다.
이런 상황이니 중앙정부의 손을 빌려 문제를 빨리 해결하자는 목소리가 희미하게나마 나올 수밖에 없다.
하지만 KBO는 명확히 선을 긋고 있다. 일찌감치 정리된 한국시리즈(KS) 시구자 문제만 해도 그렇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가 일주일 전 “롯데가 KS에 진출하면 안철수(무소속) 후보와 함께 시구하고 싶다.”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KBO는 KS 1~4차전은 구단과의 협의를 거쳐, 5~7차전은 단독으로 시구자를 선정하는데 세 유력 후보를 동시에 시구하게 하는 방안이 아니면 어렵다고 선을 그은 바 있다. 사실 그것조차 실현되기 어렵다는 점을 간파하고 있었다.
22일 플레이오프 5차전에서 SK가 롯데를 제쳤다. 성사되지 않았지만 롯데가 KS에 올랐더라면 대선 정국에 어떤 파장이 있을까를 둘러싸고도 많은 말들이 오갔다. 공교롭게도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가 대구·경북(TK), 문재인 후보와 안철수 후보가 부산·경남(PK) 출신이라 입방아에 오를 요소를 두루 갖춘 셈이다.
부산에서는 “롯데가 KS에서 삼성에 지면 대선 표심이 요동칠 것”이란 얘기가 떠돌았다. 두산과의 준PO 4차전에 앞서 롯데 선수들에게 부담을 준다며 사직구장의 3000여석을 빈자리로 남겨 뒀다는 얘기가 전해지는 롯데 팬들이다 보니 그럴싸하게 들렸다.
KBO에서는 당초 10구단 창단 연고지 선정을 연내에 마무리지을 계획이었지만 그것도 대선 이후로 미루기로 했다. 경기 수원시와 전라북도가 워낙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어서다. 창단을 주도할 기업이 나서지도 않은 상황에서 지방자치단체끼리 날 선 공방을 벌이니 곤혹스러울 수밖에 없다. 주민들이 대선 지역 공약을 요청하고 나서는 정치 바람을 탈 수도 있어 KBO는 연고지 선정을 미루겠다는 것이다.
KBO는 “선거나 정치와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겠다.”고 거듭 밝히고 있다. 팬들의 높아진 정치 의식을 반영한 결과인지, 아니면 이른바 ‘천신일 효과’ 때문인지 모르겠다.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얘기는 하나도 그르지 않다. 서울시의 도움을 받으면서도 대선 유력 주자의 힘을 ‘산뜻하게’ 빌리는 해법이란 없다. 짧은 순간 난제를 해결하면 자생력은 질식할지 모른다. 타이밍이란 것, 좋아해서도 안 된다. 우직하게 제 앞의 길을 걸으면, 야구와 팬만 바라보면 어렵지 않게 길은 열린다.
bsnim@seoul.co.kr
2012-10-2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