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운 정치부 차장
종합해 보자. ‘상대적으로 뭔가를 빼앗긴 듯한 느낌’이다. 정치인이라고 아주 감이 없지는 않다. 사회 전체를 짓누르는 이 ‘정체 모를 불만’을 누군들 느끼지 못하랴. ‘너나 없이 마음 한 구석 휑하니 구멍이 나 있을 것’이라는 정도는 눈치챈 듯하다. 정치인은 자답할 것이다. ‘이 구멍만 메워 주면 될 일. 오는 12월의 승자가 될 것’이라고.
정치권은 당초 ‘복지’에서 답을 찾은 듯했다. 2010 지방선거를 시작으로 지난 4·11 총선까지 복지에 복지를 쏟아 냈다. 신선도가 떨어졌다고 봤을까? 요즘은 ‘경제 민주화’다. 이 역시 이만저만한 경쟁이 아니다. ‘특권 포기’도 유행이다. ‘국민 여러분들이 빼앗기셨다 하니, 우리도 좀 내놓겠습니다.’는 식이다.
그러나 과연 채울 수 있을까. 경기도 분당에 사는 50대 주부 A씨를 예로 들어 보자. 여고 동창 B씨를 따라 90년대 초 강남의 작은 아파트를 팔고 분당에 왔다. 분당의 성공에 힘입어 30대에 평수 확장과 함께 1차 재산 증식에 성공, ‘신흥부자’ 대열에 합류했다. 그런 만족 속에 10여년. 다시 강남 가자는 친구 B씨를 따라가지 못한 게 패착이었다. 강남이 다시 뜰 줄이야. 이후 A씨와 B씨의 아파트 가격 차는 2배쯤. 대략 10억원, 20억원이다.
A씨는 괴로워했다. B씨를 만날 때마다 공허한 마음을 달랠 길 없어 차를 바꿨다. ‘렉서스’로. A씨는 렉서스를 몰고서야 주변에 렉서스가 많다는 걸 알게 됐다. 물론 그 렉서스의 비애까지도.
A씨의 가정은 어떤가. 사회 현상을 A씨의 가정에 압축, 적용해 보자. 직업을 구하지 못한 20대 아들은 아버지 세대를 탓한다. 아버지는 아들 세대의 손가락질에 마음이 무거우면서도 자리를 빼앗길까 불안하다. 그 아들은 ‘남녀 간 공정 경쟁’을 요구하는 여동생이 못마땅하고, 여동생은 남자들이 쳐 놓은 ‘유리천장’이 불만이다. 남편과 부인, 아들과 딸 모두가 빼앗겼다고 느끼고 있다. 이 느낌, 제한이 없다.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배운 사람과 못 배운 사람, 철들기 전 어린이부터 노년에 이르기까지.
이렇게 휑하게 빈 마음들 속에 이미 자리 잡은 것이 하나 있다. ‘이상적인 것으로 생각되는 생각이나 견해’, ‘이념(理念)’이 아닌가 한다. 이 이념은 ‘빼앗긴 듯한 느낌’을 ‘기회의 균등’ ‘평등’의 문제로 빠르게 치환해 가고 있다. 등록금 문제를 예로 들자면 ‘비싼 등록금이 내가 누릴 기회와 평등의 권리를 박탈해 갔다.’는 생각으로 나아가게 하는 작용을 한다. 그래서 반값 등록금은 이념을 거치며 평등의 문제가 되는 것이고, 민주주의 그 자체로 확장된다.
정치는 박탈감을 눈여겨볼 일이다. 복지로 채워 주겠다며 그 범주에 가둘 일이 아니다. 차라리 가치관의 문제가 아닌가 한다. 나아가 철학의 영역이요, 종교의 경지일지 모른다. 그런데 이것을 돈과 물건으로 채우겠다 한다. 엄청난 괴리다. 차라리 말 한마디가 공허함을 달래기 쉬울 수 있다. 그게 정치 본연의 영역에 가까울 수 있다.
솔직히 기대는 하지 않는다. 박탈감의 총량은 줄지 않을 테고, 복지로 미봉된 구멍 난 마음은 상당수 이념으로 나아갈 개연성이 크다. 2012 대선, 이념의 대결로 보는 이유다. 끝으로 2011년 재·보선을 되돌아본다. ‘강재섭 낙선, 손학규 당선’이란 결과의 이면에 박탈감이 존재했다는 걸 정치는 알았을까.
jj@seoul.co.kr
2012-07-2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