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만난 체육계 인사는 88서울올림픽에 얽힌 얘기 하나를 들려주었다. 강산이 세 차례도 넘게 바뀔 만큼 오래전의 얘기니 가감해 들어야 하겠지만, 대회 준비에 필요한 사항들을 점검하던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경기위원회 관계자가 은근짜의 목소리로 이런 부탁을 했단다. 종목 하나를 더 늘렸으면 한다고.
당시 88올림픽조직위원회 실무자였던 이 체육계 인사가 딱 잡아떼며 안 된다고 했더니 그는 그 뒤에도 여러 차례 매달리더란 것이다. 몇 개월을 그렇게 끌다가 나중에 들어주겠다면서 “그럼 우리 요구 하나 들어주어야 하지 않겠나.”고 했더니 흔쾌히 그러마고 했단다. 그렇게 해서 그 뒤 한국에 많은 메달을 안겨준 종목 하나를 신설할 수 있었다는 비화였다.
세월이 많이 지난 뒤의 객쩍은 무용담처럼 여겨지지만 요즘이라고 이런 일이 없을지, 이런 일이 불가능하기만 한지 모르겠다. 전두환 정권이 서울올림픽을 유치한 것도 따지고 보면 정치적 이해 타산의 산물이었다. 오죽했으면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을 앞두고 후안 카를로스 스페인 국왕이 “서울올림픽은 가장 정치적으로 오염된 올림픽이었다.”고 뒤늦게 털어놓았을까.
전두환 정권은 말도 안 되는 방법으로 집권한 자신들이 이 나라를 얼마나 안정되게 통치하는가를 세계 만방에 과시하고픈 욕망에 불타 있었다. 그리고 그 와중에 체육계가 국가권력의 강력한 지원을 등에 업고 이만한 성장의 디딤돌을 다진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우리의 역사다.
우리에겐 손기정 선생의 마라톤 제패가 민족 자존의 의지를 떨친 강렬함으로 남아 있는 1936년 베를린올림픽이 실상은 자신들의 전쟁 준비를 감추고 아리안 민족이 히틀러의 영도 아래 얼마나 똘똘 뭉쳐 있는가를 보여주려는 나치의 거대한 선전무대였음도 널리 알려져 있다. 4년 전 베이징대회만 해도 티베트 등 소수민족을 억압하는 중국 정부가 휘황한 경제 성장을 등에 업고 중화의 기치를 만방에 과시한 대회로 남을 것이 분명하다.
정치를 음습한 거래나 삿된 술수쯤으로 단정한다면, 얼마든지 비슷한 예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정치에서 이러한 요소를 제거하고 자신의 이해관계를 합리적으로 관철하는 수단이나 행위로 바라본다면 개막을 50일 앞둔 제30회 런던올림픽을 바라보는 우리의 눈도 조금은 맑아질 것이다.
그렇게 음습한 거래와 합리적인 정치행위 사이에 우리가 런던올림픽을 통해 이뤄내야 할 목표 하나가 놓여 있다. 바로 태권도를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대회 이후에도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남아 있게 하는 과제다. 2000년 시드니올림픽부터 정식종목이 된 태권도의 2020년 대회 이후 운명은 내년 9월 부에노스아이레스 IOC 총회에서 결정된다. 만약 퇴출되면 대한민국이 종주국인 스포츠를 정식종목으로 되살려 내기란 요원한 일이 될지도 모른다.
정부나 대한체육회나 태권도 단체나 모두 이 위중한 임무를 인지하고는 있다. 하지만 보고 듣는 바가 적은 탓인지, 운명의 결정이 1년 3개월밖에 남지 않은 시점에 세계인에게 태권도의 매력을 집중적으로 보여줄 마지막 무대로 여겨지는 런던올림픽에서 가용 자원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결합할지에 대해 진지하게 의견을 모아 나가지 못하는 것 같다.
개막 한달 전부터 영국의 한 대학 캠퍼스를 통째로 빌려 대표선수들의 현지 적응과 경기감각을 끌어올리는 것이나 영양사와 조리사들을 파견해 선수들을 보살피는 것도 물론 중요한 일이다. 여러 종목에서 메달을 따 국위를 높이는 일도 중요하다. 정식종목 잔류를 위해 떠들썩한 캠페인보다 은밀한 로비가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하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대회 개막을 50일 앞둔 시점에 우리가 그처럼 중대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는 사실쯤은 인지하고 대회에 임하도록 해야 하지 않겠는가. 태권도의 정식종목 잔류는 어쩌면 민족의 자존심을 곧추세우는 일일지도 모른다. 세계 만방으로 뻗어나간 태권도 도장들에서 주먹을 앞으로 내지르는 이들의 “얍!” 구호가 제대로 들린다면 말이다.
bsnim@seoul.co.kr
임병선 체육부장
세월이 많이 지난 뒤의 객쩍은 무용담처럼 여겨지지만 요즘이라고 이런 일이 없을지, 이런 일이 불가능하기만 한지 모르겠다. 전두환 정권이 서울올림픽을 유치한 것도 따지고 보면 정치적 이해 타산의 산물이었다. 오죽했으면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을 앞두고 후안 카를로스 스페인 국왕이 “서울올림픽은 가장 정치적으로 오염된 올림픽이었다.”고 뒤늦게 털어놓았을까.
전두환 정권은 말도 안 되는 방법으로 집권한 자신들이 이 나라를 얼마나 안정되게 통치하는가를 세계 만방에 과시하고픈 욕망에 불타 있었다. 그리고 그 와중에 체육계가 국가권력의 강력한 지원을 등에 업고 이만한 성장의 디딤돌을 다진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우리의 역사다.
우리에겐 손기정 선생의 마라톤 제패가 민족 자존의 의지를 떨친 강렬함으로 남아 있는 1936년 베를린올림픽이 실상은 자신들의 전쟁 준비를 감추고 아리안 민족이 히틀러의 영도 아래 얼마나 똘똘 뭉쳐 있는가를 보여주려는 나치의 거대한 선전무대였음도 널리 알려져 있다. 4년 전 베이징대회만 해도 티베트 등 소수민족을 억압하는 중국 정부가 휘황한 경제 성장을 등에 업고 중화의 기치를 만방에 과시한 대회로 남을 것이 분명하다.
정치를 음습한 거래나 삿된 술수쯤으로 단정한다면, 얼마든지 비슷한 예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정치에서 이러한 요소를 제거하고 자신의 이해관계를 합리적으로 관철하는 수단이나 행위로 바라본다면 개막을 50일 앞둔 제30회 런던올림픽을 바라보는 우리의 눈도 조금은 맑아질 것이다.
그렇게 음습한 거래와 합리적인 정치행위 사이에 우리가 런던올림픽을 통해 이뤄내야 할 목표 하나가 놓여 있다. 바로 태권도를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대회 이후에도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남아 있게 하는 과제다. 2000년 시드니올림픽부터 정식종목이 된 태권도의 2020년 대회 이후 운명은 내년 9월 부에노스아이레스 IOC 총회에서 결정된다. 만약 퇴출되면 대한민국이 종주국인 스포츠를 정식종목으로 되살려 내기란 요원한 일이 될지도 모른다.
정부나 대한체육회나 태권도 단체나 모두 이 위중한 임무를 인지하고는 있다. 하지만 보고 듣는 바가 적은 탓인지, 운명의 결정이 1년 3개월밖에 남지 않은 시점에 세계인에게 태권도의 매력을 집중적으로 보여줄 마지막 무대로 여겨지는 런던올림픽에서 가용 자원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결합할지에 대해 진지하게 의견을 모아 나가지 못하는 것 같다.
개막 한달 전부터 영국의 한 대학 캠퍼스를 통째로 빌려 대표선수들의 현지 적응과 경기감각을 끌어올리는 것이나 영양사와 조리사들을 파견해 선수들을 보살피는 것도 물론 중요한 일이다. 여러 종목에서 메달을 따 국위를 높이는 일도 중요하다. 정식종목 잔류를 위해 떠들썩한 캠페인보다 은밀한 로비가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하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대회 개막을 50일 앞둔 시점에 우리가 그처럼 중대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는 사실쯤은 인지하고 대회에 임하도록 해야 하지 않겠는가. 태권도의 정식종목 잔류는 어쩌면 민족의 자존심을 곧추세우는 일일지도 모른다. 세계 만방으로 뻗어나간 태권도 도장들에서 주먹을 앞으로 내지르는 이들의 “얍!” 구호가 제대로 들린다면 말이다.
bsnim@seoul.co.kr
2012-06-0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