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석의 신호를 찾아서] 지식과 정보 그리고 비밀의 기능

[이효석의 신호를 찾아서] 지식과 정보 그리고 비밀의 기능

입력 2021-04-12 20:42
수정 2021-04-13 01: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효석 뉴스페퍼민트 대표
이효석 뉴스페퍼민트 대표
지식과 정보는 비슷한 대상을 가리키지만 뉘앙스 차이가 있다. 지식은 더 체계화된 정보를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정보가 축적돼 보편적으로 활용 가능할 수 있게 만든 것을 뜻한다. 그러나 정보는 소유의 개념, 곧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를 구분하는 느낌이 더 강하다. 지식이 보편적이라면 정보는 차별적이다. 이런 면에서 정보의 최상급에 해당하는 단어가 있으니, 바로 비밀이다.

비밀은 보통 소수의 사람들에게 공유되는 정보를 의미하며 권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정보기관의 비밀이나 군사기밀이 이에 속한다. 조직 수준에서만이 아니라 친구들 사이에서도 비밀은 그 특성상 잠깐의 권력관계를 만들며, 이는 흔히 가십의 특징으로도 표현된다.

비밀을 가진 자는 비밀을 알고 있음을 내세우며 실은 말하고 싶어 그 이야기를 꺼냈음에도 상대에게 이를 이야기할지 말지 저울질하는 척한다. 우리가 경험을 통해 잘 알듯이 비밀이 있다는 사실을 밝히는 것 자체가 그 비밀을 말하겠다는 목적의 롤러코스터에 올라타는 것과 같다. 나는 사실 비밀을 지켜야 함에도 불구하고 너에게 그 비밀을 말하고 싶어 못 견디겠다고 고백하는 것과 다름없다.
이미지 확대
따라서 듣는 이는 말하는 이를 그런 상태로 더 오랫동안 감질나게 만들 수 있음에도 상대의 호의를 받아들이고 형식적 권력관계를 완성하기 위해 그 비밀에 대한 너의 권력을 인정한다는 순종적인 모습을, 또 다른 비밀을 그에게 대가로 제시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취함으로써 그 비밀을 공유받는다. 이렇게 비밀을 나누는 것은 신뢰를 돈독하게 만드니, 이것이 가십의 긍정적 역할이다. 훔친 사과를 나눠 먹을 때 우정은 더 깊어지는 법이다.

비밀에는 아이러니도 존재한다. 누군가가 어떤 사실을 감추려 할 때 그가 감추려 한 사실 자체보다 감추려 한다는 것을 숨기고 싶어 한다는 점이다. 감출수록 드러나는 것이 비밀의 아이러니다. 미국 작가 에드거 앨런 포의 추리소설 ‘도둑맞은 편지’에서는 이를 역이용해 범인으로 하여금 가장 중요한 편지를 편지함에 꽂아 두는 방식으로 편지를 숨기게 만들었다. 비밀은 소수의 사람들만 공유한다는 점에서 분명 차별적이지만 이 세상 누구나 자기만의 비밀이 있다는 점에서 보편적이기도 하다. 비밀의 긍정적 측면은 이런 보편성에서 등장한다.

1960~1970년대 베스트셀러 ‘빙점’의 작가 미우라 아야코 수필집에 나오는 이야기다. 어느 날 그녀는 친구의 집을 방문한다. 친구의 어린 딸이 실수로 컵을 떨어뜨려 깼을 때 친구는 아무 말 없이 컵을 치우고는 딸에게 괜찮은지를 물었다고 한다. 자신이 그 상황이었다면 바로 딸에게 화를 냈을 것이라 생각하고 그 친구의 부드러움에 충격을 받았다. 그리고 집으로 돌아와 더 친절한 부모가 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얼마 후 그 친구는 옆집 고등학생의 칼에 찔려 죽고 그 고등학생도 자살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두 사람이 불륜 관계였다는 것이다. 그녀는 이렇게 해석한다. 아마 그 친구가 가진 비밀이 오히려 그를 다른 이의 실수에 관대하게 만들었을 거라는 것이다.

이 이야기는 우리에게 비밀의 순기능에 대해 말해 준다. 누구나 남에게 감추고 싶은 비밀, 추궁당하고 싶지 않은 약점이 있다는 것을 이해함으로써 인생의 다면성을 깨닫고 타인을 쉽게 판단하지 않으며 이를 통해 우리로 하여금 타인을 조금이라도 여유 있게 대하도록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2021-04-1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