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자 연세대 중국연구원 전문연구원
그런 이유로 그들은 죽음에 관한 많은 신화를 만들어 냈다. 최초의 인간은 불멸의 존재였으나 결국은 필멸의 존재가 됐다는 이야기들이 대부분인데, 각 민족이 전승하는 신화마다 필멸의 이유가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영웅이 불사약을 찾아서 갖고 오다가 넘어져 쏟아지는 바람에 불사약을 잃게 됐다는 나시족의 신화도 있고, 천신이 죽음과 질병의 씨앗을 세상에 뿌리는 바람에 죽음이 시작됐다는 이족의 신화도 있다.
하니족 신화에서도 인간은 죽지 않는 존재로 나타난다. 하지만 그들의 신화에서 불멸은 긍정적으로 묘사되지 않는다. 신은 불멸을 주었지만, 영원한 젊음은 주지 않았다. 그들은 늙어갔고, 급기야 손가락 하나 까딱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젊은이는 일해야 먹고살 수 있었기에 그들을 돌볼 수 없었고, 결국은 그들을 밭 가장자리에 차곡차곡 쌓아 두고 일을 하러 나갔다. 쌓여 있는 노인들 위로 비가 내리고 햇볕이 내리쬐었다. 노인들의 눈에서는 눈물이 흘렀고 귀에서는 버섯이 자라났다. 그들은 죽을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했다.
그러던 어느 날, 한 청년이 사냥하러 갔다가 원숭이를 잡았다. 그런데 그 원숭이가 너무나 늙어서 얼굴이 쪼글쪼글했다. 그 모습을 본 청년은 눈물을 흘렸다. 죽지도 못한 채 밭 가장자리에 쌓여 있는 가엾은 노인들이 생각난 것이다. 그것은 또한 자기의 미래이기도 했다. 마음이 슬퍼진 청년은 목수를 청해 관을 만들고 사제를 모셔다가 죽은 원숭이를 위한 장례식을 치러 주었다. 그 모습을 천상의 신이 보게 됐다. 신은 그들이 도대체 무엇을 하는 것인지 궁금해 사신들을 보내어 알아보게 했다. 하지만 그 긴 상자 안에 무엇이 들어 있는지 아무도 알아내지 못했다. 신이 맨 나중에 보낸 파리가 관 안에 들어가 그 안에 죽은 원숭이가 있음을 알아냈고, 천신에게 그 사실을 보고했다. 천신은 파리의 공로를 인정하면서 “앞으로 어떤 음식이든지 네가 먹고 싶은 것은 다 먹어라”라고 말했다. 우리가 야외에서 음식을 먹으려고 하면 파리가 가장 먼저 날아오는 것은 바로 파리가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려는 것이라고, 사람들은 말한다.
아무튼, 그 보고를 받은 천신은 분노했다. 인간이 그런 이상한 놀이를 하다니, 그들은 죽는 것을 좋아한다는 말인가. 신은 청년과 목수, 사제를 불렀다. 그 자리에서 청년은 인간에게 죽을 수 있는 권리를 줄 것을 간곡하게 요청했고, 천신도 일리가 있다고 여겨 마침내 인간에게 죽을 수 있는 권리를 주었다. 노인들이 드디어 편안하게 세상을 떠날 수 있게 됐다.
이것은 하니족 사람들이 죽음을 신의 축복으로 여겼음을 보여 주는 신화이다. 자원이 한정된 고원에서 영원히 산다는 것은 축복이 아니라 재앙임을 하니족 사람들은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그들의 장례식은 떠들썩하다. 망자의 영혼이 조상의 땅으로 잘 돌아갈 수 있도록 사제들은 경전을 음송하고, 사람들은 영혼이 편히 떠날 수 있도록 장례식 마당을 북적이게 만든다.
하지만 죽음의 무게는 여전히 무겁다. 수많은 인간이 불멸의 꿈을 꾸었지만 불멸은 신화 속에만 존재하는 아련한 꿈이라는 것을, 필멸의 존재인 인간은 알고 있다. 그렇기에 사람들은 누구의 죽음이든, 죽음 앞에서는 일단 깊은 애도를 표했다. 죽음의 신은 누구도 피할 수 없고, 언젠가는 나에게도 이를 것임을 알기 때문이다. 누구의 죽음이든, 일단은 품격 있는 애도를 표해야 할 시간이 아닌가.
2020-07-14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