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준식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그러나 단언하건대 이런 일은 앞으로도 또 일어날 것이다. 이 정도로 사회 문제가 되고, 갑질한 본인은 개망신을 당하지만 이런 일은 멈추지 않을 것이다. 왜 그런 추측을 할까. 그것은 기본적인 문화의 틀이 바뀌지 않았기 때문이다. 어떤 틀일까. 억압을 일삼는 잘못된 유교의 신분 차별이 그것이다. 유교가 원래 그렇지 않았는지는 몰라도 조선은 유교를 가지고 극심한 신분 차별을 행했다.
양반들의 갑질은 극에 달했다. 그들은 노비를 사람으로 보지 않았다. 그래서 노비를 셀 때 소를 세는 ‘두’(頭)라는 단위를 사용한 경우도 있었다. 노비가 사람이 아니니 양반은 그들에게 별짓을 다 했고 그것이 문제가 되지 않았다. 하인 앞에서 상전 노릇하면서 권력을 행사해야 진정한 양반이 되는 줄 알았다.
지금 있는 자들의 갑질을 보면 꼭 이 꼴이다. 조선 양반이 하던 짓과 똑같다. 아랫사람을 인격적으로 무시하고 욕을 하고 심지어 폭력까지 행사하는 게 양반짓을 방불케 한다. 아랫사람은 마음대로 해도 된다고 굳게 믿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은 엄연한 민주사회 아닌가.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는 민주주의 사회 아닌가. 그런데 어떻게 19세기 유교의 봉건 잔재가 횡행하는 것일까. 조선이 망한 지가 언제인데 아직도 양반질이 통한다는 말인가.
이것은 우리가 조선의 봉건적인 유교 문화를 한 번도 제대로 청산하지 못했기 때문에 나오는 현상이다. 생각해 보라. 우리는 조선에 대해 대대적인 반성을 한 적이 없다. 비판은 많이 했지만 그것은 철저한 반성도 아니었고 따라서 대안도 제시하지 못했다. 조선의 적폐 유교 문화를 극복하려면 사회 전체가 총체적인 반성을 하고 대안 제시에 모든 사람들이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런데 우리는 그런 일을 한 적이 없다. 주지하다시피 조선은 일본에 의해 강제로 망했으니 어떤 정리도 할 수 없었다. 일제 때는 식민지 신세였으니 당연히 할 수 없었다. 해방 후에도 한국의 지성계에서 유교를 총정리하자는 움직임은 없었다. 갑자기 미국 문화가 밀려와 다들 그것을 따라가느라 정신이 없었다.
학교에서는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는 시민 정신을 가르쳤지만 그런 문화는 정착되지 못했다. 머릿속은 여전히 조선의 가치관이 지배하고 있었다. 새로운 문화가 정착되려면 과거를 한 번 총체적으로 쓸어 버려야 한다. 그렇게 강하게 하지 않으면 봉건적 적폐는 없어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중국은 공산주의로 구체제를 뒤엎어 버렸다. 물론 많은 부작용이 있었지만 그 덕에 봉건적인 잔재는 많이 없어졌다. 그 결과 그들은 현재 상하평등이나 남녀평등의 면에서 우리보다 앞선다. 이것은 내 중국 제자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일본은 다른 식으로 전통과 결별했다. 메이지유신을 하면서 어떻든 과거 일본을 완전히 바꾸어 버렸다.
우리에게는 이런 모멘텀이 없었다. 전통적인 것을 한 번 뒤집어엎고 까발리는 일이 벌어지지 않았다. 통렬한 반성이 없었다. 그냥 밀려서 여기까지 왔다. 그래서 민주적인 것과 봉건적인 것이 섞여 버려 어떻게 할 수 없는 지경이 됐다. 한국 사회는 아직도 봉건적인 요소가 너무 많다. 나이 타령하면서 상전 노릇 하려 하고 고향 따지고 여전히 여성을 차별한다. 이 세 가지, 그러니까 나이나 고향, 성별은 태어나면서 결정되는 것이라 바꿀 수 없다. 문화가 발달한 사회에서는 이 세 가지를 극복하려고 애를 쓴다. 그런데 우리는 아직도 여기에 묶여 있다. 그래서 봉건적이라고 하는 것이다. 진정한 적폐 청산은 이 봉건적인 잔재를 걷어 내고 새로운 문화를 만드는 것이다.
2017-08-28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