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봉관에서 사라진 영화 ‘말하는 건축가’를 일부러 찾아가 보았다. 정기용 자신이 화자가 된 이 영화의 가장 큰 메시지는 건축에 대한, 그리고 건축가에 대한 개념을 바꿔야 한다는 신념이다. 최근까지 성급하게 진행되던 서울 재개발 사업이 중심가 개조 사업에 집중되어 너무 극단적이며 일방적이라고 생각해 온 필자는 이 영화에서 인간을 중시하는 정기용의 건축 철학에 크게 공명했다. 특히 그가 질색하는 것은 건축가가 개발사업의 하청업자로 전락하는 것이었다. 건축은 무엇보다 그것을 필요로 하는 사람을 위한 것이라는 그의 확신은 당연한 말 같지만 결코 현실에서는 잘 통용되지는 않았던 진리이다.
영화를 보고 난 전체적인 느낌은 그가 단순히 말하는 건축가가 아니라 몽상하며 사유하는 건축가였다는 것이다. 대형 건물의 권위주의적이며 위압적인 공간 구성이 아니라 인간 친화적인 공간, 다시 말하면 그것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의 숨결을 담아 구성해야 한다는 그의 철학은 앞으로 한국 건축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그가 무주의 한 마을회관을 설계할 때 주민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열심히 경청한 결과, 그들에게 목욕탕이 가장 절실하다는 것을 깨닫고 목욕탕을 설계에 반영하여 주민들의 삶에 실질적인 기여를 했다는 것은 인상적이었다. 지난 반세기 한국 건축은 파괴와 건설의 악순환을 치달아 왔다. 이제 건축은 단순한 공간 구조물이 아니라 인간의 역사와 문화를 축적하는 일이 되어야 한다는 그의 주장은 설득력을 갖는다.
역사적으로 볼 때 한국은 우수한 건축 문화를 자랑해 왔다. 석굴암이나 불국사의 건축은 물론 부석사 무량수전 등은 한국인이 지닌 탁월한 건축능력을 과시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세기 들어서서 한국은 대형 건축물들을 빨리 짓기 위해 경쟁하는 것 같은 졸속주의를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도심의 재개발이 위정자들에 의해 업적 위주의 일방적인 전시사업으로 추진되었다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사람들의 숨결이 사라진 건축물은 인간을 위한 건축물이 아니다. 정기용의 가장 깊은 철학적 관심은 자연과 인간의 조화와 소통이다. 주변의 자연 풍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건축물은 인간을 위한 건축물이 아니다. “이 집은 시간이 멈추어 있는 것 같다.”는 그의 표현은 자연에 감응하는 일이 인간에게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말해준다.
정기용의 작업 중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눈에 들어 온 것은 전국 여러 곳에 어린이들을 위해 건립한 기적의 도서관이다. 영화에서 가볍게 스쳐가는 영상을 보면서 종전의 틀에 박힌 어린이용 도서관과는 색다른 공간 구성이 느껴졌으며, 이곳에서 책을 읽는 어린이들에게 상상의 공간을 열어주는 충분한 공간적 배려가 있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건축물에 대한 정기용의 방대한 스케치와 메모 또한 그가 단순한 건축가가 아니라 예술적 몽상가이며 창조적 영감을 소유한 건축가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20세기 스페인의 세계적인 건축가 가우디의 위대한 작품들을 보면서 왜 우리는 그와 같은 예술적 건축가가 없을까 하는 생각이 스쳐간 적이 있다. 아직도 그가 설계해 건축 중인 바르셀로나 대성당의 내부 공간 구성은 가우디 자신의 꿈과 몽상이자 인간 모두의 꿈과 몽상이다.
정기용은 몽상가이고 창조자이다. 건축가이자 예술가로서 그의 꿈은 이제 막 새롭게 전개되어야 하는 한국 현대 건축의 커다란 방향 전환을 예고한다. 그의 시작은 작았지만 건축가로서 그가 지녔던 꿈이 널리 퍼져나갈 때 한국건축의 미래는 새 지평을 열어갈 것이다. 정기용은 아무리 말해도 알아듣지 못하는 우리들을 위해 그 자신이 직접 영화의 주인공이 되어 우리 앞에 나타나 이루지 못한 꿈의 전달자가 되었다. ‘이 땅에서 일어난 문제는 이 땅에서 해결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집약시킨 그의 명제는 비단 건축의 문제만이 아니라 지금 한국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 해결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감동을 전해준다.
최동호 고려대 국문학과 교수·시인
역사적으로 볼 때 한국은 우수한 건축 문화를 자랑해 왔다. 석굴암이나 불국사의 건축은 물론 부석사 무량수전 등은 한국인이 지닌 탁월한 건축능력을 과시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세기 들어서서 한국은 대형 건축물들을 빨리 짓기 위해 경쟁하는 것 같은 졸속주의를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도심의 재개발이 위정자들에 의해 업적 위주의 일방적인 전시사업으로 추진되었다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사람들의 숨결이 사라진 건축물은 인간을 위한 건축물이 아니다. 정기용의 가장 깊은 철학적 관심은 자연과 인간의 조화와 소통이다. 주변의 자연 풍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건축물은 인간을 위한 건축물이 아니다. “이 집은 시간이 멈추어 있는 것 같다.”는 그의 표현은 자연에 감응하는 일이 인간에게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말해준다.
정기용의 작업 중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눈에 들어 온 것은 전국 여러 곳에 어린이들을 위해 건립한 기적의 도서관이다. 영화에서 가볍게 스쳐가는 영상을 보면서 종전의 틀에 박힌 어린이용 도서관과는 색다른 공간 구성이 느껴졌으며, 이곳에서 책을 읽는 어린이들에게 상상의 공간을 열어주는 충분한 공간적 배려가 있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건축물에 대한 정기용의 방대한 스케치와 메모 또한 그가 단순한 건축가가 아니라 예술적 몽상가이며 창조적 영감을 소유한 건축가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20세기 스페인의 세계적인 건축가 가우디의 위대한 작품들을 보면서 왜 우리는 그와 같은 예술적 건축가가 없을까 하는 생각이 스쳐간 적이 있다. 아직도 그가 설계해 건축 중인 바르셀로나 대성당의 내부 공간 구성은 가우디 자신의 꿈과 몽상이자 인간 모두의 꿈과 몽상이다.
정기용은 몽상가이고 창조자이다. 건축가이자 예술가로서 그의 꿈은 이제 막 새롭게 전개되어야 하는 한국 현대 건축의 커다란 방향 전환을 예고한다. 그의 시작은 작았지만 건축가로서 그가 지녔던 꿈이 널리 퍼져나갈 때 한국건축의 미래는 새 지평을 열어갈 것이다. 정기용은 아무리 말해도 알아듣지 못하는 우리들을 위해 그 자신이 직접 영화의 주인공이 되어 우리 앞에 나타나 이루지 못한 꿈의 전달자가 되었다. ‘이 땅에서 일어난 문제는 이 땅에서 해결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집약시킨 그의 명제는 비단 건축의 문제만이 아니라 지금 한국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 해결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감동을 전해준다.
2012-04-1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