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은영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매력적인 얼굴은 단지 평균일 뿐이다’란 논문에서 랭글로이와 로그만은 합성된 사진의 수가 많을수록 그 사진의 인물이 매력적으로 보인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이들은 96명의 남녀 대학생 사진을 찍어 디지털 수치로 변환한 다음 4, 8, 16, 32개 얼굴을 합성한 사진을 만들었다. 학생들은 16개와 32개의 얼굴을 합성한 사진을 가장 매력적이라고 평가했다. 많은 수의 사진들이 합성될수록 각 사진이 갖고 있는 불규칙한 점들이 보완되면서 더 매력적으로 보인 것이다.
성형미인들이 어쩐지 다들 비슷해 보이는 이유도 바로 평균에 근접한 모습이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유사한 성형미인들이 많아지면 언젠가 성형을 안 한 자연미인의 개성이 더 높은 평가를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규격화된 글씨체보다 개성이 묻어나는 손 글씨에 더 정이 가는 것처럼 말이다.
약간의 교정으로 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면 그것까지 막을 필요는 없다. 문제는 그 정도가 지나치다는 데 있다. 또한 그러한 지나침 속에서 본질을 놓칠 수 있다는 데 있다. 겉을 속보다 더 중요시한다는 것, 진짜가 아니어도 개의치 않는다는 것이 더 문제다.
자기관리의 일환으로 외모를 가꾸는 것까지는 권장할 만하다. 자기 만족이든 타인 배려든 이마저 무시한다면 오히려 게으름에 속할 수도 있다. 그런데 외모 가꾸기가 자기관리의 차원을 넘어 가짜를 만들어내는 것이라면, 본질은 무시한 채 겉모습만 포장하는 것이라면 재고할 필요가 있다. 겉만 번지르르하면 속은 상관없다는 인식은 물론이려니와 내부보다 외부, 나의 본질보다 남에게 보이는 데만 치중하는 것은 진정성에서 멀어지는 것이다.
기술이 발전할수록 진짜와 더 구분하기 힘든 가짜가 양산되기 쉽다. 미디어도 비매개성을 추구하며 마치 실물을 직접 보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듯이, 성형기술도 마치 성형을 안 한 것처럼 자연스럽게 보이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매개된 이미지를 실제 이미지와 더 잘 혼동할수록 사람들이 더 몰입하듯이, 더 진짜처럼 보이는 가짜에게 사람들은 더 쉽게 매료된다.
우리 사회의 여러 영역에 진짜와 가짜가 혼재돼 있는 상태가 신뢰사회를 가로막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외모에서 더 나아가 학력성형이나 이력성형도 ‘남에게 보이기 위한 가짜’의 항목에 포함될 수 있다. 스펙도 자기계발을 위한 것이 아니라 남에게 보이기 위한 것이라면 이 또한 유사한 범주에 해당한다.
미래에는 의학 발달로 마치 자동차의 부품을 바꾸듯 우리 몸의 일부를 인공제품으로 바꾸는 것이 일상화될 수도 있다. 이쯤 되면 “당신은 몇 % 인공입니까”라는 질문을 하게 될지도 모른다. 먼 미래의 이야기라 하기엔 너무나 인공적인 가짜가 많아진 지금, “당신의 몇 %가 진짜입니까”라는 질문을 언제부터 하게 될지 궁금하다. 본질, 내용, 진짜를 볼 줄 알고 그것을 기준으로 평가하고 평가받는 사회가 되기를 희망한다.
2014-03-1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