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한·중 수교 20주년이 되는 해이다. 짧은 기간이지만 북한문제, 역사 및 영토문제, 경제문제 등 다양한 이슈로 양국 간에 처리해야 할 내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중국은 지난 100년을 제외하고 한국에 대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한 나라였다. 앞으로 중국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상시적인 정보 제공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5월 3일 자 서울신문은 중국에 대한 세 가지 기사를 게재하였다. ‘천광청 관련 미·중 간 인권외교문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한·중 수교 20주년 세미나’이다. 특이한 점은 세 기사 모두에서 나타나는 중국에 대한 우리의 시각이다. 각 기사에서 기술되는 중국은 인권운동가를 탄압하는 국가, 세계시장을 지배할 가능성이 큰 위협적인 경제 대국, 불신의 벽이 높아 미래관계가 불투명한 외교 대상으로 묘사되고 있다. 물론 세 기사가 중국을 대상으로 취재한 모든 기사를 대표하지 않고, 한쪽으로 편향된 기사도 아닌, 사실에 기초한 내용이지만 부지불식간에 신문에서의 중국은 긍정보다는 부정적 이미지가 많이 있는 국가로 강조되고 있다.
미디어 효과 가운데 ‘뉴스프레임 효과’는 사건의 특정 측면을 강조하거나 배제함으로써 재현되는 현실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고, 호의적으로 보이거나 비호의적으로 보이게 할 수도 있다고 한다. 즉, 언론에 의해서 재구성된 뉴스가 정보 취득자에 대한 지침서의 역할을 하여 특정한 현실을 규정함으로써 사건의 원인 규명과 도덕적 판단 및 대안 제시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일반인들은 중국의 인권문제, 복잡한 FTA, 양국의 외교문제에 정통하지 않거나 적극적으로 인지하려 하지 않기 때문에 중국에 관한 뉴스의 정보는 전적으로 구독자의 인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중국에 대한 기사는 지금보다 더 심층적이고 입체적이어야 한다. 특히, 중국 관련 보도는 팩트에 대한 사실검증을 넘어서는 역사적 흐름과 통찰력을 제시해줄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중국이 역사적으로 큰 나라이고 우리에게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우리는 20년이라는 짧고 약한 외교관계를 가진 대상 국가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일종의 착시현상이다. 서울신문의 한·중 수교 20주년 관련 기사에서 김흥규 성신여대 교수는 “현재 한·중의 정치적 신뢰도는 최저점으로 평가”되며, “중국의 국내적 어려움이 예상되는 2015년 이후의 양국 관계는 폭발적인 갈등 상황으로 전환될 수 있다.”라고 우려했다.
언론은 중국이 대국임에도 왜 인권문제에서 미국의 내정간섭(?)을 받을 수밖에 없는지 분명한 이유를 알릴 필요가 있다. 왜 중국은 여러 국가 가운데 한국과 FTA를 체결하려는지 그리고 한·중 관계는 성숙했지만 여전히 모호성과 갈등이 존재하고 있으며, 앞으로 서로 한계를 뛰어넘고 새로운 도전을 극복하는 데 어떤 장애가 있는지 체계적으로 분석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문제의 핵심은 아직도 우리는 중국을 잘 모른다는 것이다. 20년 세월 동안 중국에 대한 피상적인 이미지 확인과 이데올로기적 관점에만 매몰되어 있지, 중국의 시각에서 중국을 보지 못한 것이다. 지금은 중국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심층적인 분석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미래의 중국은 미국을 능가하는 국가가 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우리의 언론이 미국에 대해 신경 쓰는 것만큼 중국을 다루어야 한다. 미국적 시각이 아닌 다른 차원의 시각으로 중국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누적된 중국에 대한 정보와 분석 결과는 우리가 중국에 대해 가진 중립적이지 못한 시각을 바꿔줄 것이고, 냉정하게 중국을 바라보게 하는 힘을 길러줄 것이다. 언론은 중국이 사회주의에 찌들어 있고, 부정부패가 만연하며, 더럽고, 비위생적 음식만을 만들어 내는 나라가 아니라는 것부터 새롭게 인식해야 할 것이다.
우형진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미디어 효과 가운데 ‘뉴스프레임 효과’는 사건의 특정 측면을 강조하거나 배제함으로써 재현되는 현실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고, 호의적으로 보이거나 비호의적으로 보이게 할 수도 있다고 한다. 즉, 언론에 의해서 재구성된 뉴스가 정보 취득자에 대한 지침서의 역할을 하여 특정한 현실을 규정함으로써 사건의 원인 규명과 도덕적 판단 및 대안 제시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일반인들은 중국의 인권문제, 복잡한 FTA, 양국의 외교문제에 정통하지 않거나 적극적으로 인지하려 하지 않기 때문에 중국에 관한 뉴스의 정보는 전적으로 구독자의 인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중국에 대한 기사는 지금보다 더 심층적이고 입체적이어야 한다. 특히, 중국 관련 보도는 팩트에 대한 사실검증을 넘어서는 역사적 흐름과 통찰력을 제시해줄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중국이 역사적으로 큰 나라이고 우리에게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우리는 20년이라는 짧고 약한 외교관계를 가진 대상 국가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일종의 착시현상이다. 서울신문의 한·중 수교 20주년 관련 기사에서 김흥규 성신여대 교수는 “현재 한·중의 정치적 신뢰도는 최저점으로 평가”되며, “중국의 국내적 어려움이 예상되는 2015년 이후의 양국 관계는 폭발적인 갈등 상황으로 전환될 수 있다.”라고 우려했다.
언론은 중국이 대국임에도 왜 인권문제에서 미국의 내정간섭(?)을 받을 수밖에 없는지 분명한 이유를 알릴 필요가 있다. 왜 중국은 여러 국가 가운데 한국과 FTA를 체결하려는지 그리고 한·중 관계는 성숙했지만 여전히 모호성과 갈등이 존재하고 있으며, 앞으로 서로 한계를 뛰어넘고 새로운 도전을 극복하는 데 어떤 장애가 있는지 체계적으로 분석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문제의 핵심은 아직도 우리는 중국을 잘 모른다는 것이다. 20년 세월 동안 중국에 대한 피상적인 이미지 확인과 이데올로기적 관점에만 매몰되어 있지, 중국의 시각에서 중국을 보지 못한 것이다. 지금은 중국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심층적인 분석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미래의 중국은 미국을 능가하는 국가가 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우리의 언론이 미국에 대해 신경 쓰는 것만큼 중국을 다루어야 한다. 미국적 시각이 아닌 다른 차원의 시각으로 중국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누적된 중국에 대한 정보와 분석 결과는 우리가 중국에 대해 가진 중립적이지 못한 시각을 바꿔줄 것이고, 냉정하게 중국을 바라보게 하는 힘을 길러줄 것이다. 언론은 중국이 사회주의에 찌들어 있고, 부정부패가 만연하며, 더럽고, 비위생적 음식만을 만들어 내는 나라가 아니라는 것부터 새롭게 인식해야 할 것이다.
2012-05-0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