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영 서울대 소비자아동학과 4년
여기서 열매는 달콤한 당선을 의미하지 않는다. 선거는 정권에 대한 직접적인 심판이나 지지 표명이 될 수 있고, 정당이나 후보에 대한 신뢰나 불신을 보여주는 척도로 기능을 한다. ‘꽃’인 선거가 끝나고 나면 눈에 보이는 결과도 나온다. 그것은 정권교체일 수도 있고, 부패나 부도덕에 대한 처단일 수도 있으며, 국민 여론을 반영한 정책 재정비일 수도 있다. 선거 결과에 대한 분석과 반성도 뒤따르고, 이를 통해 정치는 한 발짝 더 국민을 향한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이것이 선거의 열매이자 민주주의의 발전이다.
하지만, 이 시대의 민주주의는 열매를 맺지 못하고 있다. 선거라는 꽃이 제대로 피지 못하기 때문이다. 유권자들은 정치 공작이나 지역주의에 따라 휘청거리며 선거가 끝난 이후에는 관심을 거둬 버린다. 이러한 시류 속에서 정치인들은 당선이 자신의 죄를 씻어주는 징표라 착각하거나 자신이 받아야 할 심판이 선거로 끝난 것이라고 자의적으로 판단해 버린다. 선거에서 잘못에 대한 심판은 이뤄지지 못하며, 선거가 끝나면 그간 제기돼 온 의혹들은 무관심 속에 그저 사라져 버린다. 반성 역시 이뤄지지 않는다. 계절 모르고 핀 꽃은 매서운 추위에 시들어 버린다. 꽃도 피지 않은 나무에 열매가 맺힐 리 없다.
이번 선거는 이러한 경향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성추행 의혹을 받는 후보나 복사에 가까운 논문 표절로 논란이 된 후보가 무리 없이 당선됐다. 민간인 불법 사찰에 대한 비판 여론이 왕성했지만, 이것은 정작 선거에서는 표를 가를 중요한 이슈가 되지 못했을뿐더러 선거 분석이 난무한 가운데 조용히 잊히고 있다. 경제민주화나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이 쟁점이 됐던 공약을 어떻게 실현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전망도 거의 제시되지 않고 있다. 선거가 끝났고, 동시에 관련된 모든 것은 종언을 맞았다.
이를 극복하려면 무엇보다 언론의 역할이 중요하다. 선거의 결과와는 관계없이 선거 이전의 중요한 이슈에 대해서 끊임없이 문제를 제기하고, 당선자나 정당의 계획에 대한 질문을 계속해서 이어나가는 것이 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서울신문의 지면에는 아직도 총선의 결과 분석만이 가득한 상황이다. ‘19대 당선자에게 듣는다’ 코너를 통해 초선의원을 주목한 기사는 의미 있었고 ‘보수-진보 지형변화’(4월 16일 자)는 좋은 선거 분석기사다. 하지만, 박근혜 비대위원장과 한명숙 전 대표의 전략을 비교·평가한 기사(4월 12일 자)나 총선 이후 책임론이나 당권을 둘러싼 갈등(4월 14일 자, 4월 16일 자)이 비슷한 제목에 비슷한 내용으로 며칠째 지면을 차지하고 있음은 안타까운 일이다. 이는 요 며칠로 끝나지 않을 듯하다. 당 지도부 변화에 따라 이와 같은 보도는 계속 이어질 전망이며, 게다가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대선 출마 결심을 한 만큼 그에 대한 기사가 한동안 지면을 채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소식들이 뉴스가치가 없다는 것은 아니지만, 이로 말미암아 중요한 소식에 자리를 내주지 못하는 것은 아닌지 항상 경계하길 바란다. 매일같이 나타났다 사라지는 수많은 소식의 물결 속에서, 비록 새로운 소식이 아니라 해도 잊혀서는 안 될 것들을 건져내고 신문 지면에 그들이 설 자리를 만들어 주는 것. 이를 통해 선거가 하지 못한 검증과 심판을 이어가는 것. 그것이 가짜 봄을 이겨내고자 언론이 해야 할 일이기 때문이다. 그때야, 우리 사회도 비로소 꽃피는 봄을 거쳐 가을의 결실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2012-04-1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