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窓] 상처 입은 치유자/차동엽 인천 가톨릭대 교수·신부

[생명의 窓] 상처 입은 치유자/차동엽 인천 가톨릭대 교수·신부

입력 2014-04-05 00:00
수정 2014-04-0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 3월 하순 특강 차 남미 몇 개국을 돌았다. 그중에는 교황을 배출한 나라 아르헨티나도 끼어 있었다. 간 김에 프란치스코 교황이 부에노스아이레스 교구 주교로 활약하던 시절 출근하다시피했다던 빈민촌을 방문했다. 일반인들은 접근이 허락되지 않은 우범지역이기에 현지 본당 보좌 신부를 보디가드로 앞세워야 했다. 도로를 따라 야트막한 지붕의 집들이 얼키설키 늘어져 있고, 20m마다 사람 하나 다닐 만한 골목길이 안쪽으로 미로처럼 뻗어 있었다.

차동엽 인천가톨릭대 교수·신부
차동엽 인천가톨릭대 교수·신부
동네 어귀에 양철지붕의 성당이 떡 하니 서 있었다. 들어가 보니 60평 남짓한 공간에 성스러운 제단이 환하게 꾸며져 있었다. 나름 공들여 만들어진 스테인드글라스를 통해 오색 빛이 밝고 현란하게 드리워진 가운데, 본당 신부는 큼지막한 유리병에 한가득 성수를 담아 들고 다니며 신자 가족들에게 인심 좋게 은총을 부어주고 있었다.

“아, 여기구나! 이곳이 프란치스코 교황이 주교시절 하루가 멀다 하고 찾아와 당신의 양떼들을 돌보았다던 바로 그곳이로구나.” 그랬다. 그곳은 지난 반세기 아르헨티나가 세계 경제 5위권 강국에서 급전직하 고질적 채무국으로 추락해 온 과정이 낳은 어둠의 지대, 그러기에 0순위로 목자가 필요했던 후미진 ‘목장’이었다. 그곳에서 교황은 20년 가까이 ‘가장 낮은 곳’, ‘땅의 백성’을 향한 연민의 촉을 키웠다.

돌아오는 길은 똑같은 사명을 살고 있는 한 사람으로서 의당 마주쳐야 하는 물음들과의 동행이었다. 돌이켜 보자니, 뜬금없이 ‘상처 입은 치유자’라는 말이 떠오른다. 신부수업 시절 어느 교수 신부의 추천으로 읽었던 책명. 그 책 마지막 장에 이런 대목이 있다. 졸저 ‘김수환 추기경의 친전’에서 김 추기경이 평소 즐겨 인용했던 문장으로도 소개된 내용이다.

어떤 유다교 랍비가 엘리야 예언자에게 가서 물었다. “메시아는 언제 오십니까?” 엘리야가 답했다. “네가 가서 그분께 직접 물어보아라.”

랍비는 어리둥절해져서 반문했다. “도대체 어디 누구에게 가서 물어보라는 것입니까?”

이 물음에 엘리야는 이렇게 말했다.

“저 성내에 가면, 병든 거지 떼들이 모여 앉아 있다. 모두가 상처 입은 사람들이다. 그들은 모두 자기 상처를 감은 붕대를 한꺼번에 풀었다 감았다 하는 데 몰두하고 있다. 그런데 그중 거지 하나는 자신 역시 상처를 입고 가난한 거지이면서도 남과는 달리 상처에 감은 붕대의 한 부분만을 풀었다 감았다 한다. 그는 늘 어느 순간이든지 ‘남이 나를 필요로 할 때 즉시 가서 그에게 도움을 줄 수 있어야지’라고 항상 남을 생각하고 있다. 이 사람이 메시아다.”

참으로 깨우쳐 주는 바가 큰 말이다. 자신 역시 상처를 입고 가난한 거지이면서도 어느 순간이든지 남을 도울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 그가 메시아다? 여기서 메시아는 ‘교주’가 아니라 ‘사명자’를 총칭하는 메타포임을 놓치지 말 일이다. 최근 교황은 공개적으로 한 일반 사제에게 고해성사를 보아 또 한 번 세인을 화들짝 놀라게 했다. 이로써 자신이 ‘상처입고 가난한 거지’임을 만천하에 고백한 셈이다.

남 얘기가 아니다. 사실인 즉, 누가 스스로 “상처가 없다”고 주장할 수 있으랴. 궁극에 스스로 가난한 거지가 아니라고 내세울 수 있는 자 세상에 어디 있으랴. 요는 그것으로 인해 움츠러들 것인가, 아니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타의 기지개를 펼 것인가 일터다.
2014-04-0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