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원 KBS 아나운서
권위는 제도, 이념, 인격, 지위 등이 가치의 우월성을 공인시키는 위력이다. 궁극적인 근거는 그 가치를 인정하는 사람의 마음에 있다. 따라서 인간 집단에는 여러 권위가 존재한다. 어떤 사람은 인정하는 권위를 다른 사람은 인정하지 않을 때도 있다. 일단 언어의 ‘문자적 권위’를 보자. 언어는 공동체의 규범인 만큼 화폐처럼 표준화가 필요하다. 예부터 언어의 권위는 사전에서 찾았다. 국립국어원 같은 기관에서 권위를 갖고 있었다. 표준어라는 이름하에 맞춤법 규정으로 얽어매던 언어의 권위는 슬슬 그 위엄을 내려놓기 시작했다. 개인이 자신의 지식을 바탕으로 권위를 내세우기도 하고, 대중이 언중의 이름으로 신조어를 만들기도 한다.
방송사 인터넷 게시판에 올라오는 의견이나 청소년들의 통신언어를 보면 권위의 폭이 넓어지는 느낌이다. 진짜 얘기하고 싶은 언어의 권위는 ‘인격적 권위’이다. 말하는 사람의 성품과 인격에서 나오는 인격적 권위는 그 사람의 영향력과 진정성, 신뢰성을 그대로 드러낸다. 국가조직 총수의 변명을 믿어 주지 않는 사회 풍토 속에서 그의 삶을 아는 사람들은 다른 견해를 가질 수 있다. 분야를 막론하고 대중에게는 사랑받지만 동료에게는 그리 인정받지 못하는 사람이 있기 마련이다. 물론 방송가도 크게 다르지 않다. 진정성의 가면을 쓰고 시청자들에게는 사랑받을지언정, 동료나 선후배들에게 인정받지 못하는 그의 언어의 권위는 그야말로 안팎이 천지차이다. 대중은 모르는 그의 삶을 알기 때문이다. 이것이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에토스이다.
언어의 권위는 세계 속에서 ‘문화적 권위’를 갖는다. 언어는 지구촌 사람들을 연결하는 힘이다. 19세기 제국주의 지도가 현재 사용하는 언어지도인 것을 보면 언어는 국가의 힘이다. 한 나라의 최대 수입원이 되는 상품이기도 하고, 개인의 능력을 나타내는 자산이기도 하다. 언어의 영향력은 그 나라의 경제력과 문화지배력을 반영한다. K팝과 한류드라마 열풍으로 우리 언어를 배우는 사람이 늘고 있다. 세종학당 보급은 반가운 일이다. 그만큼 우리 언어의 문화적 권위가 높아지는 것이리라. 드라마 한류로 인한 한국어의 문화적 권위 상승은 기분 좋은 일이지만 주인공이 부인을 두세 명씩 두는 드라마를 보노라면 외국인들이 우리나라를 일부다처제 국가로 오해할까봐 겁나기도 한다. 권위의 왜곡이다.
어느 연극계 원로에게 수십년 전이나 지금이나 변하지 않는 공연계 풍토는 무엇이냐고 물었다. “하나가 있지”라는 문장으로 말문을 연 그 어른은 이렇게 답하셨다. “그때나 지금이나 돈 있고, 권력 있고, 명예 있는 사람들은 늘 공짜표를 원한다니까.” 공짜표를 구하는 그들은 자신의 언어에 권위가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그 권위는 이미 땅바닥에 있다.
“돈 있고, 권력 있고, 명예 있는 사람들은 늘 공짜표를 원한다니까.” 공짜표를 구하는 그들은 자신의 언어에 권위가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그 권위는 이미 땅바닥에 있다.
2013-10-17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