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어렵게 살던 시절이었다. 사진은 1963년 1월 19일 한겨울날, 서울 구세군 건물 앞에서 우유죽을 타 먹으려고 줄을 서 있는 사람들의 모습이다. 남루한 옷차림에 죽을 담을 양동이나 깡통을 손에 들었다. 전쟁이 끝난 지 겨우 10년, 국토는 황폐해져서 아직 식량 문제도 해결되지 않고 있었다. 당시 신문 보도를 보면 충북 충주 시내에 있는 어린이 중에서 29%가 한 끼 또는 두 끼를 굶고 있었다. 이런 굶주림은 당시에는 도농어촌, 남녀노소를 떠나 공통적인 현상이었다. 하루 세 끼를 다 챙겨 먹는 사람을 찾기가 드물었다. 어른도 어른이지만 한창 자랄 나이의 아이들이 결식을 하고 있는 것은 국가적인 문제였다.
굶주림을 면하려면 미국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식량이 남아돌던 미국은 원조기관인 ‘케어’를 통해 옥수수 가루와 우유 가루를 한국으로 보냈다. 당국은 옥수수 가루로는 죽을 쑤거나 빵을 만들어 배급했고, 우유 가루는 가루째로 아니면 죽을 만들어 배고픈 사람들에게 나눠주었다. 우유죽은 전국의 구세군 급식소를 통해서도 배급이 되었다. 사진은 서울 신문로 1가 옛 구세군 별관 건물에 있던 ‘구세군 서울 급식소’다. 이 자리에는 1960년대에 구세군 회관이 새로 들어섰다. 구세군이 한국에 진출한 것은 1908년이다. 1928년에 완공된 구세군 본관(구세군 중앙회관)이 서울 정동에 남아 있다. 이 건물은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20호로 지정돼 있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2-0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