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초부터 큰애가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다. 하지만 과정은 수월하지 않았다. 마음에 드는 어린이집을 찾기가 쉽지 않아서였다. 교사들이 마음에 들면 시설이 부실해 보였고, 어떤 어린이집은 “아이들을 돈으로 보고 있다.”는 느낌이 들기도 했다. 몇 개의 어린이집을 거쳐 마음에 드는 곳을 찾은 뒤에는 기다림과의 싸움이었다. 정부의 보육료 지원으로 또래의 아이들이 모두 어린이집으로 몰린 데다 맞벌이 부부도 아닌 탓에 큰 아이는 3순위로 밀렸다. 그렇게 2개월가량을 버틴 덕에 어린이집에 들어갈 수 있었다.
고민은 끝나지 않았다.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돌아오면 오늘은 뭘 하고 놀았는지 살피고, 점심과 간식으로 뭘 먹었는지를 나눠준 식단표와 비교하고 있다. 또 선생님이 혼내지는 않았는지, 같이 다니는 아이한테 맞거나, 잘못하지는 않았는지를 잊지 않고 확인한다. “혹시나”해서다.
아내는 밸런타인데이나 스승의 날 때 아이들과 교사들에게 줄 선물을 마련하느라 한참 바빴다. 그럴 때면 “어린이집까지 그럴 필요가 있느냐.”고 짐짓 점잖은 척했지만 “아무것도 안 하는 집 아이는 대하는 게 다르다.”는 아내의 근거 없어 보이는 현실론 앞에 딱히 할 말이 없었다. 초등학교 다닐 때 어머니가 학교에 왔다 가면 태도가 달라지던 선생님의 얼굴이 떠올라 아내의 말에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었다. 오래전 떨쳐버린 기억이라고 여겼는데, 되살리는 현실이 안타깝다.
어린이집의 정책을 총괄하는 보건복지부를 담당하고 있다. 얼마 전까지 복지부 앞에서는 민간 어린이집 원장들의 시위가 벌어졌다. 정부의 규제를 완화해 달라는 주장이다. 한 아이의 아버지로서 원장들의 입장에 전혀 찬성할 수 없다. 원장들은 불신부터 해소해야 한다. 아이들을 믿고 보낼 수 있도록 더 많은 견제장치가 필요한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언제쯤 걱정 없이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낼 수 있을까. 이제 곧 둘째도 어린이집에 다닐 텐데 그때는 지금보다 좀 더 어린이집을 믿을 수 있게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김효섭 사회부 기자
아내는 밸런타인데이나 스승의 날 때 아이들과 교사들에게 줄 선물을 마련하느라 한참 바빴다. 그럴 때면 “어린이집까지 그럴 필요가 있느냐.”고 짐짓 점잖은 척했지만 “아무것도 안 하는 집 아이는 대하는 게 다르다.”는 아내의 근거 없어 보이는 현실론 앞에 딱히 할 말이 없었다. 초등학교 다닐 때 어머니가 학교에 왔다 가면 태도가 달라지던 선생님의 얼굴이 떠올라 아내의 말에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었다. 오래전 떨쳐버린 기억이라고 여겼는데, 되살리는 현실이 안타깝다.
어린이집의 정책을 총괄하는 보건복지부를 담당하고 있다. 얼마 전까지 복지부 앞에서는 민간 어린이집 원장들의 시위가 벌어졌다. 정부의 규제를 완화해 달라는 주장이다. 한 아이의 아버지로서 원장들의 입장에 전혀 찬성할 수 없다. 원장들은 불신부터 해소해야 한다. 아이들을 믿고 보낼 수 있도록 더 많은 견제장치가 필요한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언제쯤 걱정 없이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낼 수 있을까. 이제 곧 둘째도 어린이집에 다닐 텐데 그때는 지금보다 좀 더 어린이집을 믿을 수 있게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12-06-02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