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혜정 영화평론가 중앙대 예술대학원 교수
‘블라인드’는 시각장애를 가진 여성이 사건에 대해 증언하면서 사이코 살인자에게 쫓기는 내용이고, ‘도가니’는 광주 인화학교에서 발생한 청각장애 학생들에 대한 성폭행 사건을 다룸으로써 사회적 충격과 파장을 몰고 온 작품이며, ‘오직 그대만’은 시각장애인 여성과 복서의 아름다운 사랑이야기로서 올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으로 선정되었다. ‘글러브’는 충주 성심학교의 청각장애인 야구부가 봉황기에 출전하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는 과정을 다룬 작품이었다.
영화가 장애인과 관련된 이야기를 다루는 것은 드물지 않지만, 올해처럼 명실상부한 주인공으로서 김하늘·한효주 같은 스타배우들이 타이틀 롤을 맡고 영화적으로 화제를 모으며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는 한국 영화가 네 편이나 등장했다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다.
그런데 정작 장애인들이 이 영화들을 보기 어렵다는 것은 곤혹스럽다. 이는 무엇보다 관람 환경이 비장애인 중심이고, ‘함께한다’는 인식이 부재한 탓이다. 다른 분야도 그렇겠지만 장애인들의 문화접근권 향유는 정말 쉽지 않은 것 같다.
그런 와중에 우리나라에서도 ‘배리어프리(barrier-free) 영화 설립 추진위원회’가 만들어져 장애인의 영화 관람을 수월하게 하기 위한 노력에 들어갔다. ‘배리어프리’란 장애인 및 고령자 등의 사회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물리적 장애물이나 심리적 장벽을 없애기 위해 실시하는 운동 및 시책으로서 ‘배리어프리’, 즉 장벽을 없앤다는 뜻을 담고 있다.
영화분야에서도 그동안 극장에 장애인 좌석을 만든다든가, 장애인들이 영화를 관람할 수 있도록 영화진흥위원회가 주관하여 한글자막과 화면해설 서비스 사업을 실시한다든가 하여 배리어프리를 위한 노력을 해온 바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장애인들이 그러한 노력의 효과를 누리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장애인 영화관람권 확보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조사에 따르면 작년 개봉영화 168편 가운데 한글자막이나 화면해설을 제공한 영화는 15편에 불과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배리어프리 영화 설립 추진위원회’의 존재와 지난 10월 28일부터 31일까지 열린 배리어프리 영화 심포지엄은 의미하는 바가 크다. 특히 ‘블라인드’와 ‘술이 깨면 집에 가자’ 등 두 편의 영화가 배리어프리 버전으로 상영된 것은 특기할 만한데, 이 배리어프리 영화들은 청각장애인을 위해 대사자막을 가로로 배치하고, 음악이나 음향 등을 설명하는 자막을 세로로 배치하여 영화의 상황을 좀 더 상세하게 전달하고 느낄 수 있게 했다. 그간의 자막 서비스보다 진일보한 형태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상황설명 내레이션도 추가됨으로써 역시 영화 본디의 모습에 더 접근할 수 있는 형태가 된 것이다. 무엇보다 배리어프리 영화에 감독과 배우 그리고 전문성우가 참여함으로써 영화의 완성도나 의도를 훼손하지 않고 장애인의 영화관람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제작단계부터 배리어프리를 염두에 둔 영화들도 나올 것이라고 하니 기대해도 좋을 것 같다.
그렇다고 배리어프리 영화의 전망이 낙관적인 것만은 아니다. 장애인도 영화를 즐길 권리가 있고 그러한 인식의 당위성이야 누구나 지지하겠지만, 현실적인 측면에서 배리어프리 영화를 만든다는 것은 제작비가 늘어난다는 의미이므로 제작사들이 선뜻 나서지 않을 게 자명하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메이저 영화사들의 사회적 기여에 대한 의식전환이 보태져 장애를 불문하고 함께할 수 있는 영화관람 문화가 조성되기를 또한 요청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렇게 될 때 우리 사회의 공감과 소통을 가로막는 ‘배리어’ 하나가 사라질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배리어프리가 비장애인들에게 또 다른 ‘배리어’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론에 대한 모색도 고민해야 할 부분임은 당연하다.
2011-11-17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