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며칠, 도심이나 시골길을 걷다가 날씨가 평소와는 달라 뭔가 이국적이라는 느낌을 많은 사람들이 공유했을 것이다. 잉크처럼 푸른 하늘, 몽실몽실한 구름 모양, 쏟아지는 햇살, 그러나 무덥지 않은 주변 공기. 유럽의 지중해 연안이나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서 나타나는 이른바 지중해성기후에 해당하는 날씨다. 네티즌들은 “햇볕이 강해도 그늘에 있으면 정말 시원하다” “전형적인 샌프란시스코의 여름 날씨” “우리나라가 정말 지중해성기후로 변한 것 같다”고 와글거린다.
지중해성기후는 여름에 아열대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비교적 고온의 맑은 날이 이어지는 건기(乾期)가 된다. 겨울에는 중위도 편서풍 영향권에 편입되는 탓에 온대 저기압으로 비교적 온난한 우기(雨期)를 맞이한다. 남미의 칠레 중부, 남아프리카공화국 연안, 오스트레일리아 남부에서도 지중해성기후가 나타난다. 이 지역에서는 여름철 건조한 기후에 잘 견디는 올리브와 코르크떡갈나무, 오렌지, 레몬, 포도, 무화과 등이 자란다. 겨울철에는 밀, 보리를 수확한다. 또 지중해성기후 지역은 대표적인 와인 산지라는 공통점도 갖고 있다. 원래 우리나라의 기후는 대륙성기후와 몬순기후의 특성을 함께 갖고 있다. 춥고 건조한 시베리아기단의 영향을 받는 겨울철에는 비가 적고 건조하다. 반면 여름에는 북태평양기단의 영향으로 장마가 끝난 뒤 고온다습한 날씨가 이어진다. 그런데 21일 낮 평균 최고 기온은 32.2도로 지난 30년간의 평균인 29도보다 높았지만, 오후 3시의 습도는 36%에 머물렀다. 예년의 습도 80%와 비교하면 이례적으로 낮은 수치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지중해성기후로 변한다는 것은 기상청의 설명대로 일시적인 착각일 가능성이 높다. 오히려 전 지구적인 기상변화로 ‘이른 봄, 늦은 가을’ 현상이 일반화되면서 지중해성기후 지역 자체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는 연구결과도 나온다. 12만 5000건의 식물 서식환경 변화를 분석한 ‘세계기상변화 생물학저널’ 연구보고서는 “연중 온난건조한 지중해성기후 지역인 스페인이 30년 전보다 봄이 무려 2주 빨라지고 연간 강우량이 크게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기후변화 시대가 우리나라의 날씨에 어떤 영향을 가져올지 예측하기 어렵다. 짧은 지중해성기후 체험 정도라면 즐겁게 넘어갈 수 있지만, 혹한과 혹서, 집중 호우와 강설 등의 자연재해가 이어진다면 큰 고통이 될 것이다. 국민 모두가 기후변화 시대에 대비해야 할 때인 것 같다.
이도운 논설위원 dawn@seoul.co.kr
지중해성기후는 여름에 아열대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비교적 고온의 맑은 날이 이어지는 건기(乾期)가 된다. 겨울에는 중위도 편서풍 영향권에 편입되는 탓에 온대 저기압으로 비교적 온난한 우기(雨期)를 맞이한다. 남미의 칠레 중부, 남아프리카공화국 연안, 오스트레일리아 남부에서도 지중해성기후가 나타난다. 이 지역에서는 여름철 건조한 기후에 잘 견디는 올리브와 코르크떡갈나무, 오렌지, 레몬, 포도, 무화과 등이 자란다. 겨울철에는 밀, 보리를 수확한다. 또 지중해성기후 지역은 대표적인 와인 산지라는 공통점도 갖고 있다. 원래 우리나라의 기후는 대륙성기후와 몬순기후의 특성을 함께 갖고 있다. 춥고 건조한 시베리아기단의 영향을 받는 겨울철에는 비가 적고 건조하다. 반면 여름에는 북태평양기단의 영향으로 장마가 끝난 뒤 고온다습한 날씨가 이어진다. 그런데 21일 낮 평균 최고 기온은 32.2도로 지난 30년간의 평균인 29도보다 높았지만, 오후 3시의 습도는 36%에 머물렀다. 예년의 습도 80%와 비교하면 이례적으로 낮은 수치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지중해성기후로 변한다는 것은 기상청의 설명대로 일시적인 착각일 가능성이 높다. 오히려 전 지구적인 기상변화로 ‘이른 봄, 늦은 가을’ 현상이 일반화되면서 지중해성기후 지역 자체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는 연구결과도 나온다. 12만 5000건의 식물 서식환경 변화를 분석한 ‘세계기상변화 생물학저널’ 연구보고서는 “연중 온난건조한 지중해성기후 지역인 스페인이 30년 전보다 봄이 무려 2주 빨라지고 연간 강우량이 크게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기후변화 시대가 우리나라의 날씨에 어떤 영향을 가져올지 예측하기 어렵다. 짧은 지중해성기후 체험 정도라면 즐겁게 넘어갈 수 있지만, 혹한과 혹서, 집중 호우와 강설 등의 자연재해가 이어진다면 큰 고통이 될 것이다. 국민 모두가 기후변화 시대에 대비해야 할 때인 것 같다.
이도운 논설위원 dawn@seoul.co.kr
2011-07-23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