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일본경제신문은 세계시장에서 한국기업의 활약상을 보도하면서 일본이 한국기업들의 적극적 신흥개도국 시장개척 전략을 배울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기업들은 구사회주의 신흥개도국에 활발히 진출해 괄목할 성과를 올려왔다. 이런 국가들의 경제발전 패턴서 발견되는 공통점은 체제전환 초기의 혼란기를 거쳐 일정 단계에 접어들면 투자대비 수익률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이제 몽골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몽골은 1990년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한 이래 정치적 민주화와 구조개혁 실행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다. 특히 2000년대에 들어 민간부문 주도의 시장경제가 정착되면서 2005~2008년 연평균 약 9%의 높은 경제성장률을 달성했다. 글로벌 경제위기로 인한 국제 원자재가격의 폭락으로 작년 경제성장률은 0.5%에 그쳤으나,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올해는 10%를 웃돌 전망이다. 다수의 전문가들은 조만간 몽골이 연간 10~20%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해 10년 이내에 GDP가 4배나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전망은 2009년 10월, 6년 가까이 끌어왔던 오유톨고이(금·구리) 광산개발권에 대해 몽골 국회가 최종 승인한 데 이어, 타반톨고이(석탄) 광산도 개발이 곧 추진될 것으로 보여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일각에서는 몽골의 내수시장이 협소하고 내륙국가의 한계로 인해 광물자원을 개발해도 운송이 쉽지 않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인접한 러시아, 중국, 그리고 유럽연합(EU) 등 제3국으로의 수출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특히 일반특혜관세제도(GSP) 수혜국인 몽골은 7000개가 넘는 품목에 대해 쿼터 없이 제로 관세율로 EU 시장에 진출할 수 있다. 광물자원도 개발만 하면 중국에 판매할 수 있다. 따라서 몽골은 향후 한국의 유망한 진출대상국으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몽골에 등록되어 있는 한국기업은 1856개로 전체 외국인 기업의 18.7%를 차지하고 있으나, 총투자금액은 1억 746만달러로 2.8%에 불과하다. 반면 중국 기업 수는 4927개(49.6%)로 총투자금액은 19억 8148만달러(51.3%)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은 몽골과 수교 20주년을 맞이한 올해부터 기존의 투자협력 패턴에서 벗어나서 새로운 협력단계로 진입할 시기에 직면해 있다. 이때 몽골 정부가 산업다각화 및 현대화를 기조로 현재 추진하고 있는 ‘국가발전전략 2021’에 부응하여 호혜적인 협력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다음과 같은 분야들이 유망할 것이다.
우선 6000개 이상의 광물산지를 보유하고 있는 몽골의 자원개발 사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주요 인프라 구축사업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최근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 이주민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상하수도, 발전소 등 관련 인프라 개발이 유망하다. 또한 광물자원개발 붐에 따라 외국인들의 입국이 급증하면서 고급주택 및 상가 빌딩 등 건설사업의 기회도 확대될 것이다. 셋째, 현지의 풍부한 원료를 활용하는 제조업 부문의 투자진출 확대를 꾀할 필요가 있다. 목축원료를 활용한 캐시미어 가공, 유기농 식품을 활용한 식품 및 음료산업, 끝으로 독특한 자연자원을 활용한 관광산업과 더불어 몽골에서 이제 막 발전단계에 있는 물류유통 서비스 분야의 진출이 유망하다. 몽골에 진출하는 제조업은 현지에서 생산한 제품을 제3국으로 수출하는 방법을 적극 활용하고, 자원개발은 인접국인 중국과 러시아와의 협력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몽골은 한국과 러시아의 시베리아지역 및 중국 간의 경제협력을 확대할 수 있는 거점으로서 한국이 반도국가의 틀에서 벗어나 아시아의 중심에 설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다. 또한 몽골은 장차 한국의 자원안보, 식량안보의 달성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매력적인 국가이다. 한국 정부는 과거 중앙아시아 진출 전략을 수립하여 소기의 성과를 달성한 것처럼 이제 몽골에 대한 종합적인 진출방안을 마련하여 우리의 ‘경제지도’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이재영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유럽팀장
일각에서는 몽골의 내수시장이 협소하고 내륙국가의 한계로 인해 광물자원을 개발해도 운송이 쉽지 않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인접한 러시아, 중국, 그리고 유럽연합(EU) 등 제3국으로의 수출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특히 일반특혜관세제도(GSP) 수혜국인 몽골은 7000개가 넘는 품목에 대해 쿼터 없이 제로 관세율로 EU 시장에 진출할 수 있다. 광물자원도 개발만 하면 중국에 판매할 수 있다. 따라서 몽골은 향후 한국의 유망한 진출대상국으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몽골에 등록되어 있는 한국기업은 1856개로 전체 외국인 기업의 18.7%를 차지하고 있으나, 총투자금액은 1억 746만달러로 2.8%에 불과하다. 반면 중국 기업 수는 4927개(49.6%)로 총투자금액은 19억 8148만달러(51.3%)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은 몽골과 수교 20주년을 맞이한 올해부터 기존의 투자협력 패턴에서 벗어나서 새로운 협력단계로 진입할 시기에 직면해 있다. 이때 몽골 정부가 산업다각화 및 현대화를 기조로 현재 추진하고 있는 ‘국가발전전략 2021’에 부응하여 호혜적인 협력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다음과 같은 분야들이 유망할 것이다.
우선 6000개 이상의 광물산지를 보유하고 있는 몽골의 자원개발 사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주요 인프라 구축사업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최근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 이주민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상하수도, 발전소 등 관련 인프라 개발이 유망하다. 또한 광물자원개발 붐에 따라 외국인들의 입국이 급증하면서 고급주택 및 상가 빌딩 등 건설사업의 기회도 확대될 것이다. 셋째, 현지의 풍부한 원료를 활용하는 제조업 부문의 투자진출 확대를 꾀할 필요가 있다. 목축원료를 활용한 캐시미어 가공, 유기농 식품을 활용한 식품 및 음료산업, 끝으로 독특한 자연자원을 활용한 관광산업과 더불어 몽골에서 이제 막 발전단계에 있는 물류유통 서비스 분야의 진출이 유망하다. 몽골에 진출하는 제조업은 현지에서 생산한 제품을 제3국으로 수출하는 방법을 적극 활용하고, 자원개발은 인접국인 중국과 러시아와의 협력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몽골은 한국과 러시아의 시베리아지역 및 중국 간의 경제협력을 확대할 수 있는 거점으로서 한국이 반도국가의 틀에서 벗어나 아시아의 중심에 설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다. 또한 몽골은 장차 한국의 자원안보, 식량안보의 달성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매력적인 국가이다. 한국 정부는 과거 중앙아시아 진출 전략을 수립하여 소기의 성과를 달성한 것처럼 이제 몽골에 대한 종합적인 진출방안을 마련하여 우리의 ‘경제지도’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2010-06-1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