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기업들의 대졸 초임이 일본의 94.6% 수준이라고 한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그제 발표한 ‘임금수준 및 생산성 국제비교’보고서를 보면 대졸 초임은 2255만원으로 일본의 2384만원에 거의 육박하고 있다.1000명 이상 대기업으로 한정하면 일본보다 높아 110.4%에 이른다.2006년 1인당 국민소득이 일본의 절반에 그칠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임을 고려할 때 이런 고임금으로 한국 기업들이 세계시장에서 어떻게 싸워 이길 수 있는지 걱정부터 앞선다.
이같은 대졸초임은 다른 경쟁국이나 선진국에 비해 임금상승률이 과도하게 높았기 때문이라고 경총은 분석한다. 한국은 1997년부터 8년간 92.1%나 상승했다. 세계 경제의 호황에도 불구하고 일본 1.7%, 미국 22.9%, 영국 37.3%로 미미했다. 우리와 1인당 국민소득이 비슷한 타이완도 17.6%에 그쳤다. 근로시간 등을 따지면 우리의 임금이 아직도 적다는 노동계의 주장은 설득력을 갖기 어렵다. 우리 임금수준이 지나치게 높아 기업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라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
과도한 초임은 기업들이 신규인력을 고용할 때 정규직을 꺼리는 요인이 된다. 청년 실업률이 전체 실업률의 두배 이상을 기록하는 것에서도 잘 드러난다. 산업 전반의 고임금 현상을 유도하고 하후상박 구조로 인해 상위직급의 근로의욕마저 떨어뜨릴 수 있다. 경총은 고임금 구조가 하위직 중심의 노동운동에 있다면서 대졸 초임을 상당기간 동결할 것을 주장한다. 그러나 임금을 무조건 묶자는 발상에는 문제가 있지만 생산성 범위 내에서 임금 인상 논의가 이뤄지는 합리적인 풍토가 하루빨리 뿌리내리도록 노사가 머리를 맞대야 한다. 대졸 초임을 억제하는 대신 내년에 사원을 더 많이 뽑겠다는 일본 대기업들은 그래서 참고해 볼 만하다.
2007-02-1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