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잔 걸치고 거나해지면 누군가 꼭 “노래방에 가자.”고 제안한다. 우선 일행부터 둘러본다. 마이크를 독점할 이들이 많으면 일단 안심이다. 나에게 노래할 기회가 돌아오지 않는 게 좋다. 사회생활 30년 동안 두어곡으로 버티려니 이젠 한계에 이르렀다. 노래를 부르라고 강권하면 식은 땀이 난다.
‘파리의 택시운전사’를 쓴 홍세화씨 글을 읽다가 “정말 그런가.”라며 픽 웃었던 적이 있다. 홍씨는 20여년 만에 귀국해 보니 노래방이 한국사회를 대표하더라고 했다. “스트레스를 풀고, 신경질을 풀고, 불안심리도 풀고, 억압감정도 처리해주는 아주 중요한 정신병원”. 안 그런 사람이 꽤 있는데…. 노래방 안 가면 되지 않느냐고 되물을 것이다. 하지만 사회가 노래방에 안 가는 것과 노래 부르기를 거절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 그래도 희망은 있다. 동료들 나이가 50세 전후에 이르자 노래실력이 하향평준화하고 있다. 극소수 외엔 목소리들이 탁해진다. 술 몇잔 한 뒤에는 대개 비슷하게 들리니, 몇년만 더 버티면 될 듯싶다. 인간의 단점도 세월이 흐르면 덮어주는 조물주가 고맙다.
이목희 논설위원 mhlee@seoul.co.kr
‘파리의 택시운전사’를 쓴 홍세화씨 글을 읽다가 “정말 그런가.”라며 픽 웃었던 적이 있다. 홍씨는 20여년 만에 귀국해 보니 노래방이 한국사회를 대표하더라고 했다. “스트레스를 풀고, 신경질을 풀고, 불안심리도 풀고, 억압감정도 처리해주는 아주 중요한 정신병원”. 안 그런 사람이 꽤 있는데…. 노래방 안 가면 되지 않느냐고 되물을 것이다. 하지만 사회가 노래방에 안 가는 것과 노래 부르기를 거절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 그래도 희망은 있다. 동료들 나이가 50세 전후에 이르자 노래실력이 하향평준화하고 있다. 극소수 외엔 목소리들이 탁해진다. 술 몇잔 한 뒤에는 대개 비슷하게 들리니, 몇년만 더 버티면 될 듯싶다. 인간의 단점도 세월이 흐르면 덮어주는 조물주가 고맙다.
이목희 논설위원 mhlee@seoul.co.kr
2006-12-2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