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 박사의 줄기세포 논문조작 사건은 검찰수사 결과 사기극으로 밝혀졌다. 게다가 황 박사는 28억원을 사기·횡령한 혐의도 받고 있다. 환치기까지 한 데는 그저 말문이 막힐 따름이다. 유감이 아닐 수 없으며, 황 박사는 마땅히 책임을 져야 한다고 본다. 검찰의 불구속 기소 결정이 되레 의아스럽다. 이제 공은 사건의 유·무죄를 판단하는 법원에 넘겨졌다. 이 문제를 더이상 확대시키는 것은 금물이다. 우리끼리 소모전을 해서는 누구에게도 이롭지 않기 때문이다. 황 박사 지지자나 반대자 모두 명심해야 할 대목이다.
이번 사건은 우리에게 여러가지 교훈을 남겨주고 있다. 거짓이 당장은 통할지 몰라도 반드시 탄로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특히 과학적 도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깨우치게 했다. 학계 전반에 경종을 울렸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숙제도 거듭 각인시켰다. 수사결과엔 없지만 정부 정책의 부재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한 과학자 띄우기의 폐해를 진정 되짚어 봐야 한다. 황 박사를 영웅으로 키우려다 입은 국가적 손실을 어떻게 헤아릴 수 있겠는가. 과학기술 정책 전반에 걸친 치밀한 재검토와 제도적 장치 등을 마련해야 하는 이유다.
그렇더라도 줄기세포 연구는 계속돼야 한다. 줄기세포는 많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응용분야가 무한하다. 미래의 생명과학 및 의약분야를 선도해 나갈 신기술로 꼽힌다. 세계시장 규모만도 2010년 최대 562억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한다. 우리가 주춤하는 사이 세계는 이 분야 연구에 더욱 매진하고 있다. 미국, 영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등 경쟁국들은 한국 따라잡기에 나섰다. 우리나라에는 황 박사 말고도 전도양양한 생명공학자들이 많다. 최근 ‘세계줄기세포 허브’를 ‘첨단세포·유전자치료센터’로 재탄생시킨 것도 잘한 일이다. 과학은 속도가 빨라 한 순간에 순위가 바뀐다. 줄기세포 종주국으로서의 지위가 흔들려서는 안 된다.
2006-05-13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