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16기가 낸드플래시메모리를 세계에서 처음으로 개발하고 내년부터 양산에 들어간다는 쾌거를 이룩하였다.16기가 낸드플래시메모리는 손톱만한 실리콘 반도체 칩 안에 164억개의 트랜지스터를 만드는 경이적인 첨단기술의 결정체이다. 이러한 반도체는 MP3 음악파일 기준으로 8000곡의 음악, 영화 20편 이상 또는 일간신문 200년치의 분량을 저장할 수 있으며 부피가 크고 깨지기 쉬운 하드디스크를 대체할 수 있어 향후에 막대한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첨단제품이다. 특히 머리카락 두께 2000분의1에 해당하는 50나노 공정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여 상품화할 수 있는 뛰어난 제조공정기술을 개발한 것은 높이 평가된다.
백만여개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한 1메가 메모리를 개발했다고 떠들썩한 것이 불과 15년밖에 안되는 데 비하여 무려 1만 6000배가 더 많은 16억개의 트랜지스터가 상품화되는 것은 반도체 산업의 기술발전 속도와 역동성을 잘 말해주고 있다. 필자가 20여년 전 첨단기술의 본거지라는 미국 대학원에서 반도체과목을 강의할 때,1메가 이상의 메모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가격이 엄청나게 비싼 공정을 채택하여야 되고 1기가 이상의 메모리는 실리콘으로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이러한 정설은 끊임없는 기술혁신으로 틀린 이야기가 되었으며 향후에도 실리콘 반도체의 발전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20여년 전만 하더라도 한국에서 첨단반도체 산업이 과연 가능할 것인가에 대하여 많은 사람들이 고개를 저었다. 불과 20여년 만에 우리의 힘으로 세계에 우뚝 설 수 있는 기술혁신을 이룩한 저력이 자랑스럽다. 이러한 경이적인 발전은 우연이 아니라 과감한 투자 및 기업가 정신은 물론 우수한 과학기술인력들이 주말을 반납하고 밤을 새우며 연구개발과 기술혁신에 매진하여 이룩한 소중한 결과이다. 즉, 우수한 인력들이 기업에서 확실한 목표를 가지고 기술개발에 정진하는 소위 선택과 집중에 의한 연구개발의 가시적인 결과를 도출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도체기술은 물론 우리경제에 효자노릇을 하는 디스플레이 기술도 종래에는 생각하지도 못했던 기술혁신이 이룩되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경우 32인치 이상은 개발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몇 년 전 이야기였는데 지금은 60인치 이상이 시장에 나오고 있으며 대량생산과 기술혁신에 따라 가격이 급속히 떨어지면서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경우도 전 세계 시장의 1등과 2등을 우리 기업들이 점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가속화될 전망이다.
반도체산업과 디스플레이 산업 등이 세계시장으로 뻗어나가기 위하여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끊임없는 기술혁신과 이를 뒷받침하는 우수한 기술개발인력의 확보와 양성에 있다. 이러한 첨단산업에서는 평범한 인력보다는 창의적이고 탁월한 인력이 무엇보다도 필요하게 된다. 즉, 한명의 창의적인 과학기술자가 만명을 먹여 살린다는 것이 피부로 느껴지는 시대가 되고 있다.
이러한 유능한 과학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우선 대학 스스로가 변해야 된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교육방법을 활용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생각하고 탐구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교수들의 연구 및 교육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수평가제도의 구축은 물론 대학행정체제의 효율화 없이는 우수한 인력의 양성은 어려워진다. 이를 위하여 우리사회가 대학에 더 많은 관심과 투자를 하여야 한다. 열악한 교육여건 및 부실한 연구시설로는 국제경쟁력을 갖는 창의적인 인재를 확보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최근 미국 등 선진국은 물론 중국, 일본, 싱가포르 등 아시아권의 나라들도 우수한 이공계대학을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다만 몇 개의 대학이라도 국제적 수준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한민구 서울대 공대 교수
백만여개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한 1메가 메모리를 개발했다고 떠들썩한 것이 불과 15년밖에 안되는 데 비하여 무려 1만 6000배가 더 많은 16억개의 트랜지스터가 상품화되는 것은 반도체 산업의 기술발전 속도와 역동성을 잘 말해주고 있다. 필자가 20여년 전 첨단기술의 본거지라는 미국 대학원에서 반도체과목을 강의할 때,1메가 이상의 메모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가격이 엄청나게 비싼 공정을 채택하여야 되고 1기가 이상의 메모리는 실리콘으로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이러한 정설은 끊임없는 기술혁신으로 틀린 이야기가 되었으며 향후에도 실리콘 반도체의 발전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20여년 전만 하더라도 한국에서 첨단반도체 산업이 과연 가능할 것인가에 대하여 많은 사람들이 고개를 저었다. 불과 20여년 만에 우리의 힘으로 세계에 우뚝 설 수 있는 기술혁신을 이룩한 저력이 자랑스럽다. 이러한 경이적인 발전은 우연이 아니라 과감한 투자 및 기업가 정신은 물론 우수한 과학기술인력들이 주말을 반납하고 밤을 새우며 연구개발과 기술혁신에 매진하여 이룩한 소중한 결과이다. 즉, 우수한 인력들이 기업에서 확실한 목표를 가지고 기술개발에 정진하는 소위 선택과 집중에 의한 연구개발의 가시적인 결과를 도출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도체기술은 물론 우리경제에 효자노릇을 하는 디스플레이 기술도 종래에는 생각하지도 못했던 기술혁신이 이룩되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경우 32인치 이상은 개발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몇 년 전 이야기였는데 지금은 60인치 이상이 시장에 나오고 있으며 대량생산과 기술혁신에 따라 가격이 급속히 떨어지면서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경우도 전 세계 시장의 1등과 2등을 우리 기업들이 점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가속화될 전망이다.
반도체산업과 디스플레이 산업 등이 세계시장으로 뻗어나가기 위하여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끊임없는 기술혁신과 이를 뒷받침하는 우수한 기술개발인력의 확보와 양성에 있다. 이러한 첨단산업에서는 평범한 인력보다는 창의적이고 탁월한 인력이 무엇보다도 필요하게 된다. 즉, 한명의 창의적인 과학기술자가 만명을 먹여 살린다는 것이 피부로 느껴지는 시대가 되고 있다.
이러한 유능한 과학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우선 대학 스스로가 변해야 된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교육방법을 활용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생각하고 탐구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교수들의 연구 및 교육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수평가제도의 구축은 물론 대학행정체제의 효율화 없이는 우수한 인력의 양성은 어려워진다. 이를 위하여 우리사회가 대학에 더 많은 관심과 투자를 하여야 한다. 열악한 교육여건 및 부실한 연구시설로는 국제경쟁력을 갖는 창의적인 인재를 확보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최근 미국 등 선진국은 물론 중국, 일본, 싱가포르 등 아시아권의 나라들도 우수한 이공계대학을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다만 몇 개의 대학이라도 국제적 수준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한민구 서울대 공대 교수
2005-09-1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