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투자증권 “1월 금통위 기준금리 동결할 것”

KB투자증권 “1월 금통위 기준금리 동결할 것”

입력 2014-01-06 00:00
수정 2014-01-06 08: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KB투자증권은 6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월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재승 KB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통화정책 방향은 지난해보다 진일보한 경기판단을 바탕으로 성장지원보다는 정상적인 통화정책 유지에 더 중점을 둘 것”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이번 통화정책 방향을 두고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졌다고 분석하는 것은 시장을 오판할 소지가 있다”며 “국내외 경제 전반에 걸쳐 지난해보다 경기부양의 필요성은 크지 않다”고 진단했다.

그는 “장기적으로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가져올 이슈는 매우 강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하나 현재 상황에서는 정책 당국이 정책변화를 모색할 만한 시장변동 요인이 없다는 점에서 기준금리 변경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현 상황에서는 신흥국들도 즉시 대응을 통한 방어전략을 펴기보다는 국제 금융시장의 흐름을 더 지켜보고 행동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이 연구원은 “4분기 이후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기존의 입장을 유지한다”며 “다만, 이러한 기존 입장이 바뀔 수 있는 요인 중에는 환율의 방향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꼽았다.

그는 “그러나 출구전략 시행 이후 달러화 강세가 유지되고 외국인들이 국내 자산에 대한 투자선호도를 확대하지 않으면 한은이 금리를 내려가면서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는 거의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