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촌·대학가 기대와 우려
“지역 할당 가산점 불공정 처사”“지방 출신 취준생 혜택은 공정”
문재인 정부가 올해 하반기부터 공무원 및 공공부문에서 학벌과 지연을 배제하는 ‘블라인드 채용’을 실시키로 하면서 노량진 공시촌과 대학가에서는 기대와 우려가 교차했다. 공정한 경쟁의 토대를 만든다는 점에서 환영하는 목소리가 많았지만 급작스러운 채용제도 변화로 혼선이 생길 수 있다는 비판도 있었다. 무엇보다 채용권자들의 생각이 먼저 변해야 제도에 실효성이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26일 서울 노량진 학원가에서 만난 임모(23·여)씨는 “경찰공무원을 준비하는데 취업준비생들이 공무원과 공기업 채용에 몰리는 이유는 적어도 사기업보다는 학벌과 출신지를 덜 고려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라며 “그간 공무원, 공기업 채용 면접 때 인맥으로 합격되는 경우가 있다고 들었는데 이런 것들이 근절될 것”이라고 환영했다. 9급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장혜영(29·여)씨는 “국가직 공무원 채용은 완전한 블라인드 채용이지만 지방직 면접 때는 은연중에 학벌을 묻거나 지원자가 학벌을 드러내기도 한다고 들었다”며 “블라인드 채용 도입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 수험생은 “아무리 제도가 바뀌어도 면접관이 특정 대학 출신을 뽑고 싶으면 막을 방법이 없다. 기업 임원진의 생각부터 바뀌어야 한다”고 전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기준이나 대안이 없는 블라인드 채용은 오히려 학벌이나 인맥 이외의 스펙을 요구하는 상황을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한 수험생은 “학력, 학벌, 출신지를 보지 않고 능력만 본다는 취지는 좋다. 그렇다면 어떤 기준으로 능력을 판단할 건지를 명확히 해야 한다”며 “만일 영어 점수나 자격증 개수 등의 중요성이 커진다면 수험생들은 직무에 불필요한 스펙을 쌓기 위해 비용과 시간을 더욱 낭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기업을 준비하는 김모(27·여)씨는 “공기업들이 최근 직무 능력을 평가한다는 명목으로 ‘회사 경력’이라는 스펙을 요구하는 추세”라며 “블라인드 채용이 도입되면 회사 경력을 더 강조하게 되고 취업준비생들은 이를 위해 비정규직 업무 기간을 늘려야 하며 취업 연령은 더 늦춰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블라인드 채용이 역차별을 조장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었다. 검찰 사무직을 준비하는 권순형(25)씨는 “좋은 대학에 입학하기 위해 노력했던 사람과 그러지 않았던 사람을 완전히 동등하게 대한다는 것은 부당하다”며 “학벌만 봐서는 안 되지만 학벌도 선발 기준의 하나로 고려돼야 한다”고 말했다.
블라인드 채용과 함께 도입되는 지역인재 채용 할당제에 대해서도 찬반이 엇갈렸다. 경찰공무원을 준비하는 최기환(29)씨는 “블라인드 채용은 공정한 기회를 주는 게 핵심인데 지역인재 할당제는 특정 지역이라고 해서 가산점을 주는 것이니 불공정한 처사”라며 “임용고시도 점차 지역 가산제를 줄여 나가는 추세”라고 말했다.
반면 공기업을 준비하는 나건주(26)씨는 “공기업 스터디를 하면 지방대 학생들도 많이 보게 되는데 서울 소재 대학생에 비해 대외 활동을 하거나 스펙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적다”며 “지방 출신 또는 지방대 출신 취업준비생에게 어느 정도 혜택을 줘야 오히려 공정한 경쟁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7-06-27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