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졸 청년 고용률 OECD 최하위권…자녀 있는 30대 중후반 여성 고용률도 바닥

고졸 청년 고용률 OECD 최하위권…자녀 있는 30대 중후반 여성 고용률도 바닥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2-03-03 13:12
수정 2022-03-03 13: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졸 청년 고용률 63.5%
OECD 34개국 가운데 32위
고졸 청년 취업기간 35개월
대졸 청년의 3배나 소요돼

주요 국가의 학력별 청년 고용률(%)
주요 국가의 학력별 청년 고용률(%) 자료: OECD, 한국경제연구원
우리나라의 고졸 청년 고용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 가운데 최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OECD 통계를 분석한 결과 우리 고졸 청년 고용률이 63.5%로 OECD 34개국 가운데 32위를 기록했다고 3일 밝혔다. 고졸 청년들은 취업이 어렵다 보니 졸업 후 첫 직장을 갖는 입직 소요 기간이 평균 35개월이 걸렸다. 이는 대졸 청년들의 입직 소요 기간 11개월과 비교해 3배나 더 긴 수준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우리나라의 고등교육 이수율은 69.8%로 OECD 34개국 가운데 1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고졸자들은 정작 취업에 도움이 되는 직업 능력을 개발할 기회가 태부족인 형편임이 극명하게 드러났다. 직업교육을 받는 고등학생 비율은 18%로 OECD 평균인 42%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치기 때문이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고등학생을 위한 직업 교육과 훈련을 강화해 고교 졸업 뒤 취업을 원하는 학생들이 원활하게 노동 시장에 진입할 수 있게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0~14세 사이의 자녀를 둔 여성 고용률(%)
0~14세 사이의 자녀를 둔 여성 고용률(%) 자료: OECD,한국경제연구원
 우리나라는 자녀가 있는 30대 중후반 여성들의 고용률도 OECD 국가들과 비교하면 밑바닥 수준이었다. 35~39세 여성 고용률은 58.6%로 OECD 38개국 가운데 터키, 멕시코,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다음으로 낮은 34위였다. 이유는 육아로, 실제 0~14세 자녀를 둔 여성의 고용률은 57%에 불과했다.

 연구원은 30대 여성 고용률이 81.8%로 높은 독일, 노·사·정 합의를 통해 시간제 근로를 활성화시킨 네덜란드 사례를 들어 “핵심노동인구 고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간제 근로제, 일·가정 양립 정책 확대를 통한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를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