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T 강남 출근시간 배차 성공률, 2년새 1.9배 늘었다

카카오T 강남 출근시간 배차 성공률, 2년새 1.9배 늘었다

나상현 기자
입력 2021-11-09 17:33
수정 2021-11-09 17: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카카오T 배차성공률 2년새 개선세
“자동배차 알고리즘 강화가 요인”

많은 이용자들이 택시를 잡지 못해 분통을 터뜨린 경험이 있을 서울 강남구 출근 시간대에 카카오T택시 배차율이 최근 2년간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T 블루’ 택시.   연합뉴스
‘카카오T 블루’ 택시. 연합뉴스
9일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이 카카오모빌리티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카카오T 중형택시의 5㎞ 미만 배차 성공률은 73.7%로, 2019년 상반기보다 9.1%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택시를 잡기 어려운 출근시간대(오전 8~9시) 강남구에서 큰 폭의 개선세가 나타났다. 강남구에서 이뤄진 3㎞ 미만 단거리 호출의 경우 출근시간대 배차성공률이 올 상반기 58%로, 2년 전인 2019년 상반기(31%)보다 1.9배 높아졌다. 같은 시간대 3~5㎞ 구간 호출 배차성공률은 62%로, 1.6배 높아졌다. 상대적으로 택시를 잡기 쉬운 10㎞ 이상 장거리 호출은 9%포인트 늘어난 83%를 기록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2019년부터 자동배차 택시 서비스를 강화해 배차 성공률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카카오T는 2019년 3월 타고솔루션즈의 자동 배차 서비스인 ‘웨이고 블루’를 연동했고, 같은 해 9월 카카오모빌리티가 타고솔루션즈를 인수한 후 서비스 이름을 ‘카카오T 블루’로 변경했다. 이러한 배차 알고리즘 성능의 고도화를 통해 배차 성공률이 높아졌다는 것이 사측 설명이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배차 알고리즘 고도화를 통해 승객의 만족도를 추정할 수 있는 지표들이 꾸준히 개선됐다”며 “배차 대기 시간은 2017년 상반기 평균 19.6초에서 올 상반기 8.0초로 59% 감소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