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민 배화여대 교수
한국 기업이 이렇게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해외법인 및 지사의 주요 인력은 여전히 한국 본사에서 파견하고 있다. 해외법인 및 지사의 인력 구성을 보면 한국 본사에서 파견된 법인장과 한국인 주재원과 외국인 현지 채용인으로 구성된 경우가 많다. 해외법인과 지사에는 현지 사정에 밝은 외국인 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만 이들의 역할에는 한계가 있고, 주요 의사결정과 경영 책임을 한국에서 파견된 법인장과 한국인 주재원들이 주로 맡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한국인 직원이 외국인 직원보다 능력과 성과가 뛰어난 것일까. 해외법인과 현지 채용인에게 배울 점, 그들에게서 비롯된 조직과 경영 혁신 방안은 한국 기업 안에서 잘 공유되고 있을까.
현대자동차에서 2014년 이후 외부에 공개되지 않는 자료가 있다. 현대차가 전 세계에 둔 공장별 생산성을 비교한 내용이다. 이 자료는 글로벌 컨설팅 회사인 올리버 와이먼이 발표하는 ‘하버 리포트’의 자동차공장 생산성 지표(HPU·대당 생산시간)를 참고해 계산됐다. 2014년 6월 말 마지막으로 발표된 현대차 공장 생산성 자료를 보면 미국이 차량 1대 생산에 걸리는 시간이 14.7시간으로 가장 짧다. 이어 러시아(16.2시간), 중국(17.7시간), 브라질(20.0시간) 등이다. 반면 현대차 국내 공장에서 차량 1대를 생산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26.8시간으로 미국의 두 배에 육박했다. 하루 동안 일을 하면 한국에서 생산되는 차량이 미국의 절반에 불과하다는 의미다. 설비가 노후된 터키 공장조차도 HPU에서는 국내 공장을 앞서는 25시간으로 한국 공장보다 2시간 정도가 적게 소요된다.
더 큰 문제는 편성 효율이다. 국내 공장의 편성 효율은 57.8%에 불과하다. 반면 미국은 92.1%로 거의 100%에 가깝다. 국내만 50% 수준이지 현대차의 7개 해외 공장 편성 효율은 대부분 80% 후반에서 90% 초반 사이다. 편성 효율은 공장에서 인력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는지 보여 주는 지표다. 편성 효율이 90%라는 의미는 공장에서 가용할 수 있는 인력이 100명인데, 이 가운데 90명이 일을 하고 있다는 의미다. 현대차 공장의 편성 효율을 놓고 보면 절반만 일하고 절반은 놀고 있다는 설명이다. 물론 이 원인에는 노조 측에 유리한 법규정과 파업으로 인해 발생된 생산성 손실이 포함돼 있다. 하지만 이 지표를 참고하게 되면 한국 직원의 생산성이 높지 않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다.
배화여대 교수
2019-10-11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