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제품’ 日 의존도 높아… 반도체·디스플레이업계 긴장

‘규제 제품’ 日 의존도 높아… 반도체·디스플레이업계 긴장

백민경 기자
입력 2019-06-30 23:28
수정 2019-07-01 03: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3개 품목 日서 세계시장 70~90% 장악

장기화 땐 타격… 정부·업계 긴급회의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판결에 대한 보복 조치로 일본이 한국에 대한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수출을 규제할 것이라는 보도가 30일 나오자 국내 기업들은 잔뜩 긴장한 모습이다. 당장 오는 4일부터 일본 업체들이 해당 품목을 한국에 수출할 때마다 한국은 계약별로 일본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통상 신청과 심사에만 3개월 안팎이 걸리는 데다 해당 제품에 대한 대일 의존도가 높은 만큼 큰 타격이 예상돼서다. 정부는 진위 파악에 나서는 한편 업계와 긴급회의를 갖고 만약의 상황에 대비해 수급대책을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가 수출 규제 대상으로 지목한 3개 품목(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리지스트, 에칭가스)은 모두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패널 생산에서 필수적인 소재다. 업계에 따르면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와 리지스트는 세계 전체 생산량의 90%, 에칭가스는 약 70%를 일본이 점유하고 있어 한국을 비롯해 세계 반도체 기업 대부분이 일본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규제가 강화되면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한국 대기업이 적잖은 영향을 받게 된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에칭가스 등은 연초부터 규제 얘기가 나와 재고도 확보돼 있고 당장 조달할 대체재와 대체 거래선도 마련돼 있다”면서 “하지만 사태가 길어지면 지속적인 공급을 보장할 수 없고 질이나 양에서 대일 의존도가 워낙 높아 수출 규제에 따른 악영향이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상황이 장기화하면 일본은 몇몇 소재 생산업체가 대(對)한국 수출 차질로 제한적인 피해를 보는 정도겠지만, 한국은 다르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비중이 워낙 크기 때문에 충격이 더할 수 있다. 제조업은 소재 하나만 빠져도 전체 공정이 돌아가지 않기 때문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이번 경제 제재를 기회로 삼아 특정 국가나 기업이 아닌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의 소재, 장비 수입처 다변화에 주력해야 한다”면서 “전면적인 수출 금지가 아니라 절차 강화로 시간이 오래 걸려 물량을 적기에 못 받을 수 있는 만큼 사전 물량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 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도체 담당 기업의 한 임원은 “현재 전체 반도체 업계 장비와 부품, 재료의 국산화율은 30~40%에 불과하다고 알려졌을 정도로 일본을 중심으로 한 국외 제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데 특히 더 큰 문제는 그만큼 일본 기술력이 뛰어나 당장 모든 제품을 대체하기도 어렵다는 점”이라면서 “이런 보복 조치가 재발해도 타격이 없도록 정부와 기업이 나서 장기적으로 국내 장비재료 업체를 공동개발 방식으로 육성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9-07-01 1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1월 5일로 다가온 미국 대선이 미국 국민은 물론 전세계의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습니다. 민주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각종 여론조사 격차는 불과 1~2%p에 불과한 박빙 양상인데요. 당신이 예측하는 당선자는?
카멀라 해리스
도널드 트럼프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