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공행진 金값에도 ‘남의 집 잔치’…한은 금 보유량 세계 38위로 하락

고공행진 金값에도 ‘남의 집 잔치’…한은 금 보유량 세계 38위로 하락

김지애 기자
입력 2025-02-06 23:58
수정 2025-02-06 23: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13년 20t 매입 이후 104t 유지
외환보유액 대비 비중 2% 그쳐
높은 변동성 이유로 매입 미뤄

이미지 확대


국제 금 가격이 연일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2013년 이후 금 매입을 멈췄다. 주요국 중앙은행이 앞다투어 금을 사들이는 것과 달리 한국은행은 금 가격의 변동성이 크다는 이유로 금 투자를 하지 않고 있다.

6일 세계금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한은은 지난해 말 기준 104.4t의 금을 보유해 세계 중앙은행 가운데 38위를 차지했다. 한은의 금 보유량 순위는 2013년 말 세계 32위에서 2018년 말 33위, 2021년 말 34위, 2022년 말 36위로 점차 떨어졌고, 지난해 38위까지 하락했다. 국제통화기금(IMF·3위)과 유럽중앙은행(ECB·13위)을 포함하면 40위까지 밀리게 된다.

우리나라 전체 외환보유액에서 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2%에 불과해, 상위 40위권 중앙은행 중에서는 가장 낮았다. 아시아 주요국 중 일본(6%), 중국(6%), 대만(6%)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한은은 지난 2011년 40t, 2012년 30t, 2013년 20t의 금을 추가로 사들인 뒤, 지난해까지 11년 연속 총량을 104.4t으로 유지하고 있다. 국제 금 현물 가격은 전날 장중 온스당 2845.14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2013년 말 국제 금 시세가 온스당 약 1200달러였던 것을 고려하면, 금값은 11년간 240% 가까이 상승한 셈이다.

세계금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각국 중앙은행의 연간 금 투자액은 1186t으로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해 폴란드(89.5t), 튀르키예(74.8t), 인도(72.6t), 중국(33.9t) 등이 대거 금을 매입했다.

한은은 금 매입에 소극적인 이유로 금 가격의 변동성을 지목한다. 최근 10년간(2014년 4월~2024년 3월) 금의 수익률은 5.7%로 주식(10.9%)의 절반 수준이었으나, 수익률 변동성은 주식과 비슷했다. 이 때문에 금값이 하락할 때는 외환보유고도 크게 타격을 입을 수 있다.

한은은 지난해 4월 블로그에서도 “금 가격 고평가 견해가 우세하다”며 “향후 투기적 금 선물 매입 포지션이 청산되면 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고 했다.
2025-02-0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