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수도권 주택 거래량 반 토막, 전년 대비 48% 감소

서울 수도권 주택 거래량 반 토막, 전년 대비 48% 감소

입력 2022-09-30 10:00
수정 2022-09-30 11: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8월 말 현재 아파트 거래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 감소한 서울지역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 전경. 연합뉴스
8월 말 현재 아파트 거래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 감소한 서울지역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 전경. 연합뉴스
서울·수도권 주택 거래량이 전년대비 반 토막 이하로 떨어졌다. 특히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전년 대비 70%나 감소했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8월 말 현재 전국의 주택거래량은 38만 5391건으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 거래량(73만 7317건) 대비 47.7% 감소한 물량이다. 서울만 보면 주택거래량이 4만 3818건에 그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3.8% 쪼그라들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거래 감소량이 많았다. 8월 누계 전국 아파트 거래량은 22만 548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4.3% 감소했고, 아파트 외 주택의 매매량은 15만 9905건으로 34.4% 줄어들었다.

 특히 서울지역 아파트 거래량은 1만 1866건에 그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9.7% 감소해 거래절벽 수준에 이르렀다.

 매매 거래량이 감소한 것과 달리 전·월세는 활발히 이뤄졌다. 8월 누계 전·월세 거래량은 200만 8960건으로, 전년 동기 거래량(157만 3602건)보다 27.7% 늘어났다.

 서울 지역 전·월세 거래량은 지난해보다 24.1% 늘어나 매매 거래량과 달리 지역별 편차도 크지 않았다.

 유형별로는 월세 증가가 눈에 띄게 늘어났다. 8월 누계 기준으로 월세 거래량 비중은 51.6%로 전년 동월(42.6%) 대비 9.0%포인트 증가했다.

 장래 주택공급 추이를 가늠할 수 있는 8월 누계 주택 인허가실적은 전국 34만 7458가구로 지난해보다 11.1%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 인허가 물량이 21.4% 증가했다.

 아파트 분양 물량은 전국적으로 8월 말 현재 16만 3714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18.7% 감소했다. 수도권은 7만 3072가구가 분양돼 전년 동기 대비 21.1% 감소했고, 지방은 9만 642가구를 분양해 전년 동기 대비 16.5% 줄어들었다.

 미분양 아파트 물량은 8월 말 현재 3만 2722가구로 집계돼 전월(3만 1284가구) 대비 4.6%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미분양 물량이 5012가구로 전월 대비 10.7% 늘어났고, 지방은 2만 7710가구로 전월 대비 3.6% 증가했다. 준공된 아파트 미분양 물량은 7330가구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