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전세가율은 70.0%로 사상 최고치
수도권의 전세난이 심화하면서 수도권의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이 처음으로 광역시 등을 제외한 지방의 전세가율을 앞질렀다.서울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연합뉴스
하지만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한 지방의 전세가율은 62.0%에 그쳐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수도권의 전세가율이 지방을 앞질렀다.
전달인 11월의 경우 수도권의 전세가율은 61.8%, 지방은 61.9%로 지방이 근소하게 더 높았으나 12월에는 마침내 역전됐다.
박원갑 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지방의 경우 통상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가 크지 않아 전세가율이 높다”며 “수도권의 전세가율이 지방을 앞지른 것은 집의 교환가치보다 사용가치가 더 커지고, 집값 상승의 기대심리가 사라지고 있다는 뜻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아파트로 한정할 경우 전세가율은 전국이 70.0%, 서울이 65.7%로 역시 이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98년 1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각각 전달보다 0.4%포인트, 0.5%포인트 오른 것이다.
수도권에서 전세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경기 화성으로 78.1%를 기록했다. 수도권의 평균 전세가율도 전달보다 0.6%포인트 오르며 67.6%로 2001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서울에서는 성북구(73.0%)의 전세가율이 가장 높았고, 서대문구(71.8%), 동대문구(70.3%), 관악구(70.3%), 동작구(70.1%)가 그 뒤를 이었다.
박원갑 전문위원은 “올해도 전세가율은 상승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며 “전세가율이 올라갈수록 깡통 전세나 전세 보증금의 부실화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이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한편 앞으로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지, 하락할지를 나타내는 KB부동산 전망지수는 지난달 101.4로 전달의 104.1보다 더 낮아졌다. 이 지수는 전국의 공인중개사들이 내다본 3개월 후 주택 가격 동향으로, 100을 초과하면 상승을 점치는 의견이 많다는 뜻이다.
이 지수는 9·1 부동산 대책이 나온 올해 9월 120.6으로 정점을 찍었으나 이후 석달째 연거푸 하락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