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째 전셋값 고공행진이 계속되고 있다. 잠잠해졌다고 생각되면 다시 뛰고, 상승세가 둔화됐다는 이야기가 들리면 또 꿈틀거린다. 올가을 전세 시장이 조용하게 넘어가나 싶더니 벌써 내년 전셋값이 심상찮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내년 전셋값 상승이 심상찮다는 주장의 근거는 대략 두 가지로 압축된다. 첫 번째는 수도권 아파트 입주물량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내년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의 아파트 입주 물량은 8만 6942가구로 1992년 관련 통계를 조사한 이후 최저치다. 수도권 입주 물량은 2004년 20만 5638가구로 꼭짓점을 찍은 뒤 지속적으로 감소해 올해는 10만 7193가구가 공급됐다.
전셋값 상승론의 두 번째 근거는 전세 수요와 재계약 물건이 늘면서 기존 주택 부문에서도 공급이 이를 따라가지 못할 것이라는 것이다. 지난해 전국 전·월세 주택 거래량을 거꾸로 계산했을 때 내년에 계약 만료되는 임대주택 수는 내년 상반기에 68만 8863건, 하반기에 63만 2379건이다. 업계 관계자는 “내년 2분기까지 상승세가 이어질 확률이 높다.”면서 “특히 내년 3월은 올해보다 재계약전·월세 물량이 11.6%나 늘어나 상승세가 높게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지난 7일 열린 ‘2013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내년 전세가격이 올해(3.8% 추정)와 비슷한 4%의 상승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내년 전세시장이 생각보다 잠잠할 것이라는 전망도 적지 않다. 지난 3년간 전셋값이 급등한 탓에 더 이상 오르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2010년 10월을 기준으로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2년간 23%가 상승했고 서울은 17.2%, 수도권은 18.3%가 올랐다. 김규정 부동산114 본부장은 “결혼이나 봄·가을 이사철에 반짝 상승세는 나타날 수 있지만 지난 3년간의 급등으로 인한 피로감이 적지 않아 전반적으로는 상승세가 둔화되거나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10년부터 공급이 늘어난 도시형생활주택과 오피스텔이 전세난에 완충장치 역할을 할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왔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전셋값 상승론의 두 번째 근거는 전세 수요와 재계약 물건이 늘면서 기존 주택 부문에서도 공급이 이를 따라가지 못할 것이라는 것이다. 지난해 전국 전·월세 주택 거래량을 거꾸로 계산했을 때 내년에 계약 만료되는 임대주택 수는 내년 상반기에 68만 8863건, 하반기에 63만 2379건이다. 업계 관계자는 “내년 2분기까지 상승세가 이어질 확률이 높다.”면서 “특히 내년 3월은 올해보다 재계약전·월세 물량이 11.6%나 늘어나 상승세가 높게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지난 7일 열린 ‘2013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내년 전세가격이 올해(3.8% 추정)와 비슷한 4%의 상승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내년 전세시장이 생각보다 잠잠할 것이라는 전망도 적지 않다. 지난 3년간 전셋값이 급등한 탓에 더 이상 오르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2010년 10월을 기준으로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2년간 23%가 상승했고 서울은 17.2%, 수도권은 18.3%가 올랐다. 김규정 부동산114 본부장은 “결혼이나 봄·가을 이사철에 반짝 상승세는 나타날 수 있지만 지난 3년간의 급등으로 인한 피로감이 적지 않아 전반적으로는 상승세가 둔화되거나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10년부터 공급이 늘어난 도시형생활주택과 오피스텔이 전세난에 완충장치 역할을 할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왔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2-11-1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