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집값이 여전히 초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최근 부동산시장에는 ‘이상 신호’들이 감지되고 있다. 진원지는 대기업과 해외 부동산 투자자, 부동산업계 등으로 부동산 ‘버블(거품)’에 대비한 행보를 내딛고 있다.
대기업들은 자산 디플레이션을 우려해 ‘부동산 몸집’을 줄이고 있으며, 부동산 개발업체들과 대형 건설사들은 자체 사업은 손놓고 시장 상황만 예의주시하고 있다.
●삼성전자등 다투어 부동산 매각
삼성전자는 최근 서울 대치빌딩과 잠원, 양평, 양재, 인천, 부천 사옥 등 6개 건물과 서울 창동의 미분양 오피스텔 72가구, 토지 9필지 등을 외국계 자산유동화 전문회사인 ‘피케이원’에 매각했다. 금액으로는 1392억원에 이른다. 삼성전자의 자산 매각은 매우 이례적이다.SK㈜는 인천 용현동 물류센터 용지(10만 7000평)를 내놓았으며,SK텔레콤도 남산 그린빌딩과 지방 소재 사업장 및 기지국 등을 매물로 내놓았다.
‘땅’에 관한 한 전문가인 롯데의 행보도 눈길을 끈다. 부지 매입에 따른 직접 소유보다 임대를 통한 점포 확대로 방향을 틀고 있다.
삼성테스코 홈플러스는 점포매각 후 임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관계자는 “부동산에 많은 돈이 묶인다는 점에서 자산 유동화에 나선 것”이라면서 “하지만 아직 매각 점포나 점포 수가 결정된 것은 없다.”고 했다.
그러나 대기업 부동산 매각과 관련, 일각에서는 자산 디플레이션 우려보다 자산 효율화 측면에서 이뤄졌다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는 지적도 나온다.LG경제연구원 오문석 상무는 “부동산시장의 불안이 기업들의 행보를 가속화시키는 측면이 있지만 자산의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이 큰 것 같다.”고 설명했다.
●자체 개발사업 아예 손놔
대규모 부동산 구입 단골 손님인 개발업체들도 땅 구입에서 손을 뗀지 오래다. 주택·빌딩 등을 지어 파는 장사가 본업인데도 원재료를 구입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대형 건설사들도 아예 자체 개발사업에 나서지 않고 있다. 지난해부터 올 상반기까지 분양한 아파트 가운데 자체사업으로 추진한 물량은 거의 없다. 중견 주택전문업체들도 사정은 마찬가지. 수도권 대규모 아파트 부지 매입의 큰손 역할을 했던 이들 업체들은 추가 부지 마련에 나서지 않는 것은 물론 개발이 지연되거나 분양성이 좋지 않은 지역의 부동산을 처분하고 있다.
류찬희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삼성전자등 다투어 부동산 매각
삼성전자는 최근 서울 대치빌딩과 잠원, 양평, 양재, 인천, 부천 사옥 등 6개 건물과 서울 창동의 미분양 오피스텔 72가구, 토지 9필지 등을 외국계 자산유동화 전문회사인 ‘피케이원’에 매각했다. 금액으로는 1392억원에 이른다. 삼성전자의 자산 매각은 매우 이례적이다.SK㈜는 인천 용현동 물류센터 용지(10만 7000평)를 내놓았으며,SK텔레콤도 남산 그린빌딩과 지방 소재 사업장 및 기지국 등을 매물로 내놓았다.
‘땅’에 관한 한 전문가인 롯데의 행보도 눈길을 끈다. 부지 매입에 따른 직접 소유보다 임대를 통한 점포 확대로 방향을 틀고 있다.
삼성테스코 홈플러스는 점포매각 후 임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관계자는 “부동산에 많은 돈이 묶인다는 점에서 자산 유동화에 나선 것”이라면서 “하지만 아직 매각 점포나 점포 수가 결정된 것은 없다.”고 했다.
그러나 대기업 부동산 매각과 관련, 일각에서는 자산 디플레이션 우려보다 자산 효율화 측면에서 이뤄졌다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는 지적도 나온다.LG경제연구원 오문석 상무는 “부동산시장의 불안이 기업들의 행보를 가속화시키는 측면이 있지만 자산의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이 큰 것 같다.”고 설명했다.
●자체 개발사업 아예 손놔
대규모 부동산 구입 단골 손님인 개발업체들도 땅 구입에서 손을 뗀지 오래다. 주택·빌딩 등을 지어 파는 장사가 본업인데도 원재료를 구입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대형 건설사들도 아예 자체 개발사업에 나서지 않고 있다. 지난해부터 올 상반기까지 분양한 아파트 가운데 자체사업으로 추진한 물량은 거의 없다. 중견 주택전문업체들도 사정은 마찬가지. 수도권 대규모 아파트 부지 매입의 큰손 역할을 했던 이들 업체들은 추가 부지 마련에 나서지 않는 것은 물론 개발이 지연되거나 분양성이 좋지 않은 지역의 부동산을 처분하고 있다.
류찬희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06-07-11 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