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비 상승률 8%… 30년만 최고치
전체 물가상승률 6%보다 2%P 높아
외식 제외하면 상승률 4.2% 불과
농축수산물 4.8%, 농산물은 1.6%
식자재 인상분보다 밥값이 더 올라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대를 보이며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5일 서울 중구 명동의 한 음식점이 거리에 내놓은 가격표가 수정돼있다. 2022. 7. 5. 박윤슬 기자
6일 통계청의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외식비 상승률은 8.0%를 기록했다. 1992년 10월 8.8%를 기록한 이후 30년 만의 최고치다. 전체 물가상승률(6.0%)과 비교하면 2.0% 포인트 높다. 사회적 거리두기에 타격을 입어 매출이 급감한 음식·숙박 부문의 가격도 외식비 항목과 거의 같은 수준인 7.9% 올랐다. 반면 외식을 제외한 개인서비스는 평균보다 1.8% 포인트 낮은 4.2% 오르는 데 그쳤다. 음식점 식자재가 되는 농축수산물의 가격은 4.8% 상승했다. 이 가운데 밥과 반찬 재료인 농산물의 상승폭은 1.6%에 불과했다.
모든 물가가 전반적으로 오르는 상황에서 삶에 필수적인 밥값이 평균 물가상승률을 뛰어넘어 가파르게 상승한 것이다. 정부의 방역 조치로 손님이 끊겨 매출이 반토막 났던 음식점들이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수요 급증과 사회 전반적인 물가 상승 분위기에 편승해 음식값을 식자재 인상분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올린 게 아니냐는 지적이 일각에서 나오는 이유다.
정부 한 관계자는 “음식점들이 밀가루 등 식자재값 인상분과 인건비를 포함해 가격을 700원만 올려도 될 것을 과도하게 2000원씩 큰 폭으로 올려 버리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물가 상승에 편승한 가격과 임금의 연쇄 인상은 결국 당사자에게 부메랑이 되고 사회 전체의 어려움으로 귀결될 것”이라며 물가 상승이 다시 물가 상승을 낳는 악순환을 경고했다.
하지만 평균 물가상승률을 넘어선 외식비의 가파른 상승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는 시각도 있다. 음식값을 결정하는 요인에 유류비 등 각종 부대 비용과 인건비, 임대료까지 포함되기 때문에 단순히 식재료 인상분만 고려해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