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기준 자동차 등록 대수 2478만대

3분기 기준 자동차 등록 대수 2478만대

류찬희 기자
입력 2021-11-01 12:39
수정 2021-11-01 13: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내 자동차 누적 등록 대수가 2500만대에 육박했다. 친환경차 누적 등록 대수도 100만대를 넘었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9월 기준 자동차 누적 등록 대수가 2478만대로 지난해 말(2436만대) 대비 41만대(1.7%), 올해 6월 말(2464만대) 대비 13만 6000대(0.5%) 증가했다고 1일 밝혔다.

3분기 자동차 신규 등록 대수는 40만 7000대로 2분기 대비 7만 1000대 감소했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 부족에 따른 완성차 업체의 공급 부족 때문에 3분기 신규 등록 대수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신규 등록 차량 가운데 국산차는 33만 1000대로 81.2%를 차지했고, 수입차는 7만 7000대로 18.8%를 나타냈다.

친환경차 누적 등록 대수도 100만대를 넘었다. 친환경차 등록 대수는 올해 6월 대비 9만대(9.2%) 증가해 106만 3000대를 기록했다. 전기차는 20만 1000대로 16.4%, 하이브리드차는 84만 4000대로 7.6%, 수소차는 1만 7000대로 12.2% 각각 증가했다. 친환경차 누적 등록 비중은 2018년 말 2.0%, 2019년 말 2.5%, 2020년 말 3.4%, 올해 9월 4.3%로 꾸준히 상승했다.

3분기 신규등록 전기차의 절반가량은 경기·서울·제주도에 등록됐다. 제작사별 신규 전기차 점유율은 현대차(43.8%), 기아(21.8%), 테슬라(15.6%) 순이다. 등록된 전기차 가운데 국산 승용차는 10만 8000대, 수입 승용차는 5만 5000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4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4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