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베이징 자매도시 체결 30주년… “협력 모범사례”

서울·베이징 자매도시 체결 30주년… “협력 모범사례”

김태곤 기자
입력 2023-09-14 08:28
수정 2023-09-14 08: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양국 간 연간 무역액 50배 증가
한중 자매도시 수 210여쌍 넘어

이미지 확대
2022년 8월 서울에서 열린 ‘중한 수교 30주년 기념 미술교류전’을 관람하고 있는 관객들.   인민일보 마페이 기자 제공
2022년 8월 서울에서 열린 ‘중한 수교 30주년 기념 미술교류전’을 관람하고 있는 관객들. 인민일보 마페이 기자 제공
올해는 한국의 수도 서울과 중국의 수도 베이징이 자매도시를 체결한 지 30주년이 되는 해다. 지난 30년 동안 양 도시는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교류를 심화해 왔으며 내실 있는 협력을 통해 풍성한 성과를 거뒀다.

1992년 한중 공식 수교 바로 다음 해인 1993년, 베이징은 서울과 자매도시를 체결했다. 양국의 수도인 서울과 베이징의 자매도시 관계는 한중 선린우호 관계의 축소판으로, 수도 간 협력의 본보기가 됐다. 양 도시는 2013년 자매도시 체결 20주년을 기념해 ‘서울·베이징 통합위원회’를 설립했다. 이를 기반으로 경제·무역, 과학기술, 문화, 교육, 관광, 환경, 청소년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내실 있는 협력을 종합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전방위적이고 입체적이며 광범위한 교류와 협력을 이어왔다. 양 도시는 그간 통합위원회 전체회의를 총 3회에 걸쳐 성공적으로 개최한 바 있으며 이 과정에서 양 도시정부의 29개 부서 간 효율적 매칭을 통해 100여개에 이르는 협력 사업 및 교류 행사를 진행했다. 양 도시의 이런 협력은 수도 간 내실 있는 협력의 모범사례가 됐다. 2018년은 서울·베이징 자매도시 체결 25주년이 되는 해였는데, 양 도시는 이를 계기로 경제·무역, 과학기술 혁신, 대도시 거버넌스, 인문 등 분야에서 더욱 우호적인 교류와 내실 있는 협력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올해 초에는 서울·베이징 자매도시 체결 30주년 및 서울·베이징 통합위원회 설립 1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베이징고고유적박물관과 한성백제박물관이 국제교류전 ‘리우리허(琉璃河) 유적-베이징의 도시기원’을 서울에서 공동 개최함으로써 서울 시민들이 베이징의 뿌리 깊은 문화와 중국이 걸어온 길을 이해하고 느낄 기회를 마련했다.

최근 한국은 문화사업 발전에 많은 힘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드라마, 음악, 트렌드 등 대중문화 분야에서 특히 두드러지는 성과를 내고 있다. 베이징 시민들은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음악 등을 통해 서울이라는 도시를 바라본다. 한국 드라마에 나오는 명동거리나 ‘별에서 온 그대’, ‘상속자들’ 같은 드라마의 배경이 된 북촌 한옥은 베이징 시민들의 한국 여행 필수코스가 됐다. 한편 서울의 젊은이들도 ‘환락송’, ‘랑야방’ 등 중국 드라마나 영화를 통해 중국 젊은이들의 도시생활과 역사, 문화를 이해한다. 서울과 베이징 사이를 운항하는 항공기가 하루 20여편에 이른다.

한국과 중국은 예로부터 가까운 이웃으로서 우호적인 교류를 이어왔다. 서울과 베이징 역시 자매도시로서 교류와 협력을 이어왔으며 한중 양국 간 우호 교류 심화에 힘입어 관계를 부단히 발전시켜 왔다. 1992년 수교 이후 양국의 협력은 정치, 경제, 문화 등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이뤘으며 양국 간 전략적 협력동반자관계도 부단히 공고해져 왔다. 양국 간 연간 무역액은 50배나 늘었으며 인적 교류도 수십 배나 증가했다.

사람들 간의 우호적인 관계는 세계 평화와 발전을 촉진하는 기본 역량이자 협력과 공영을 실현하는 전제조건이다. 중국인민대외우호협회에 따르면 한중간 체결된 자매도시 수가 총 214쌍이다. 글로벌 인문 교류 및 협력 강화는 중국이 주창하는 ‘글로벌문명이니셔티브’의 중요한 구성요소다. 중국은 각국 국민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아끼며 인류 문명의 발전과 진보를 함께 이뤄 나가기를 희망한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