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삼성전자·LG전자 등과 함께 구글 안드로이드와 같은 토종 모바일 운영체제(OS) 개발에 착수한다. 최근 구글이 모토롤라를 인수하는 등 스마트폰 시장이 OS 중심으로 재편될 조짐을 보이자 정부 차원에서 개방형 OS 개발에 적극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개방형 OS 개발 컨소시엄 구성”
22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10월 초 추진할 ‘제3차 월드베스트소프트웨어(WBS)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삼성·LG 등 국내 대기업과 손잡고 개방형 차세대 모바일 OS 개발에 들어간다. 김재홍 지경부 성장동력실장은 “대기업들과 공동 컨소시엄을 구성해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한국형 운영체제를 개발할 계획”이라며 “3년 내 한국형 OS 개발 목표 완수를 위해 정부는 54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현재 모바일 시장에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애플의 iOS, MS의 윈도 모바일 등의 OS가 있다. 국내에서는 삼성전자가 독자 OS인 ‘바다’를 갖고 있지만 아직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김 실장은 “삼성이 공동 OS 개발에 부정적이었는데 구글의 모토롤라 인수·합병(M&A) 이후 시각이 많이 바뀌었다.”며 “스마트폰 시장이 OS 중심의 애플-구글-MS 3강 구도로 변화될 가능성이 커 그 어느 때보다 소프트웨어 생태계 형성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지경부는 삼성·LG 등 국내 기업뿐 아니라 해외사업자도 끌어들여 최대한 많은 사람이 OS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또한 모바일 OS뿐 아니라 구글 크롬처럼 웹기반 OS 개발도 추진한다. 김 실장은 “사용자가 많아야 구글 안드로이드 같은 모바일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다.”며 “모바일만을 위한 OS를 개발한다면 선진국 기업에 비해 시기적으로 늦지만 스마트 TV, 태블릿 PC 등 웹기반 공동 OS 개발을 하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전망했다.
●업계 “전형적 탁상공론” 부정적
이에 대해 업계는 ‘전형적인 탁상공론’이라는 부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OS가 1~2년 안에 개발해 정착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닌 데다, 여러 업체가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할 경우 중도에 중단되는 최악의 사태가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미 독자 OS를 개발한 삼성전자의 경우 또 하나의 한국형 OS 개발 참여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 역시 컨소시엄에 대한 얘기는 전달받았지만, 구체적으로 협의한 단계는 아니라고 한발 물러섰다. 한 전자업계 관계자는 “현재 OS 분야에서 왜 특허 소송이 이뤄지는지 신중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면서 “OS 개발이 쉬웠다면 굳이 안드로이드를 쓸 이유도 없었다.”고 전했다.
김승훈기자 hunnam@seoul.co.kr
●“개방형 OS 개발 컨소시엄 구성”
22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10월 초 추진할 ‘제3차 월드베스트소프트웨어(WBS)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삼성·LG 등 국내 대기업과 손잡고 개방형 차세대 모바일 OS 개발에 들어간다. 김재홍 지경부 성장동력실장은 “대기업들과 공동 컨소시엄을 구성해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한국형 운영체제를 개발할 계획”이라며 “3년 내 한국형 OS 개발 목표 완수를 위해 정부는 54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현재 모바일 시장에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애플의 iOS, MS의 윈도 모바일 등의 OS가 있다. 국내에서는 삼성전자가 독자 OS인 ‘바다’를 갖고 있지만 아직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김 실장은 “삼성이 공동 OS 개발에 부정적이었는데 구글의 모토롤라 인수·합병(M&A) 이후 시각이 많이 바뀌었다.”며 “스마트폰 시장이 OS 중심의 애플-구글-MS 3강 구도로 변화될 가능성이 커 그 어느 때보다 소프트웨어 생태계 형성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지경부는 삼성·LG 등 국내 기업뿐 아니라 해외사업자도 끌어들여 최대한 많은 사람이 OS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또한 모바일 OS뿐 아니라 구글 크롬처럼 웹기반 OS 개발도 추진한다. 김 실장은 “사용자가 많아야 구글 안드로이드 같은 모바일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다.”며 “모바일만을 위한 OS를 개발한다면 선진국 기업에 비해 시기적으로 늦지만 스마트 TV, 태블릿 PC 등 웹기반 공동 OS 개발을 하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전망했다.
●업계 “전형적 탁상공론” 부정적
이에 대해 업계는 ‘전형적인 탁상공론’이라는 부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OS가 1~2년 안에 개발해 정착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닌 데다, 여러 업체가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할 경우 중도에 중단되는 최악의 사태가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미 독자 OS를 개발한 삼성전자의 경우 또 하나의 한국형 OS 개발 참여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 역시 컨소시엄에 대한 얘기는 전달받았지만, 구체적으로 협의한 단계는 아니라고 한발 물러섰다. 한 전자업계 관계자는 “현재 OS 분야에서 왜 특허 소송이 이뤄지는지 신중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면서 “OS 개발이 쉬웠다면 굳이 안드로이드를 쓸 이유도 없었다.”고 전했다.
김승훈기자 hunnam@seoul.co.kr
2011-08-23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