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TV 출현을 놓고 방송업계가 기대와 우려의 혼재된 반응으로 들썩이고 있다.
스마트폰이 무선인터넷 활성화를 촉발하며 통신업계의 기존 구도를 뒤흔들고 있듯이 스마트TV 또한 시장 판도를 뒤흔들 ‘태풍의 눈’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업계의 긴장 수위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6일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주최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10 디지케이블 비전 포럼’ 토론회에서는 스마트TV 출시로 인해 야기될 시장구도 변화에 대한 전망과 함께 유료방송업계의 대처방안 논의가 이뤄졌다.
방송업계는 스마트TV가 초래할 ‘미디어 빅뱅’ 가능성을 주시하며 기존의 수익 기반을 지킬 경쟁력을 서둘러 강화해야 한다는 데 중지를 모으고 있다.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은 토론회 축사를 통해 “미국 컴캐스트의 지상파 방송 인수 등 전세계 방송시장이 뉴미디어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며 “국내 뉴미디어 리더인 케이블TV업계가 방송과 통신,유선과 무선,플랫폼과 콘텐츠의 경계를 넘나들며 융합을 실천,미래를 열어야 한다”고 말했다.
◇스마트TV,왜 위협적인가=이른바 스마트TV로 불리는 ‘인터넷 TV(Web Connected TV)’는 스마트폰의 운영체제(OS)인 구글 안드로이드나 애플의 iOS를 채택,서비스 제공자 환경을 넘어 무한히 확장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업체의 서비스 기반을 허물어뜨릴 폭발력을 갖고 있다.
지상파와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등이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거나 콘텐츠가 제공되는 플랫폼을 독점,이를 토대로 수익성을 보장받아왔다면 스마트TV는 TV 기반 위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구현이 가능해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찾아가는 맞춤형 구성이 가능해진다.
스마트폰처럼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 형태와 향유하는 방식을 자신의 구미에 맞춰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미 미국과 영국 등지에서 다양하게 구현되고 있는 인터넷상의 방송 형태는 TV가 더는 콘텐츠를 독점할 수 없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삼성전자는 최근 스마트TV 상에서 스카이프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구현,사용자가 자유롭게 화상통화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선보였다.스마트TV가 TV의 한계를 넘어 통신의 영역까지 넘볼 수 있음을 보여준 실례다.
TV에 익숙한 사용자들의 미디어 소비 습관과 SO와 채널사용사업자(PP) 중심의 고급 콘텐츠 유통구조를 감안할 때 기존 TV의 아성이 쉽게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도 여전하다.
그러나 인터넷과 주문형비디오(VOD)에 더 익숙한 20~30대 젊은 세대의 등장은 기존 TV 매체의 영향력 위축과 진화가 불가피한 대세임을 뒷받침하는 시대적 추세다.
최선규 명지대 디지털미디어학과 교수는 이날 토론회 발제문을 통해 “TV의 스마트화는 콘텐츠,플랫폼,단말기 회사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고 크로스오버(cross over)를 초래한다”며 “스마트TV를 통해 수용자들이 지상파나 유료방송사업자 지배를 벗어나려 할 것인 만큼 사업자들이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상당한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플랫폼 다변화,킬러콘텐츠 확보,수익기반 확대가 열쇠=주요 SO인 CJ헬로비전이 인터넷상의 TV서비스 ‘티빙’을 출시,자사 제공 플랫폼 기반을 확대하는 사례는 국내 시장도 더는 TV 따로,인터넷 따로,모바일 기기 따로식 전략이 통할 수 없는 환경으로 치닫고 있음을 보여준다.
콘텐츠 질과 가격으로 경쟁하는 환경의 도래는 더 이상 국내 유료방송업자들이 독점적 지역기반에 안주할 수 없게끔 하는 동인이다.
한양대 박승권 교수는 “향후 오픈 플랫폼의 발달에 따라 콘텐츠 사업자와 소비자가 직접 연결되거나 기술과 규제 완화가 더욱 가속화하는 등 변화가 예상된다”며 “콘텐츠 앱스토어가 상당한 파괴력을 지닌 독점적 PP가 될 가능성이 큰 만큼 유료방송업체들도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물론 구글과 애플이 인터넷 기반 콘텐츠 중심의 스마트TV 전략을 실행에 옮기고 있어 콘텐츠 경쟁력을 갖춘 전통적 방송업계로선 시간을 벌었다는 지적도 있다.
심상민 성신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유튜브 동영상 등은 현재 방송 콘텐츠와 비교하면 B급 수준”이라며 “향후 2~3년간 이러한 페이스가 유지될 수 있는 만큼 유료방송업계는 여유를 두고 준비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방송시장이 어떠한 구도로 변화하든 킬러콘텐츠 제작 및 확보는 무엇보다 기존 방송업체들의 경쟁력 유지의 핵심적 기반이 될 전망이다.
SBS가 온갖 비난을 감수하고 월드컵 중계권 등을 독점 확보하고,CJ미디어가 tvN의 경쟁력을 높이려고 막대한 투자를 감수한 것은 이를 반영하는 사례들이다.
주요 SO인 C사의 전략기획을 담당하는 H모 과장은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종합편성채널 도입을 굳이 하지 않더라도 업계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고 변화를 강요하는 미디어 빅뱅은 이미 진행 중”이라며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기존의 수익구조에 안주하는 업체들은 도태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합뉴스
스마트폰이 무선인터넷 활성화를 촉발하며 통신업계의 기존 구도를 뒤흔들고 있듯이 스마트TV 또한 시장 판도를 뒤흔들 ‘태풍의 눈’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업계의 긴장 수위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6일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주최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10 디지케이블 비전 포럼’ 토론회에서는 스마트TV 출시로 인해 야기될 시장구도 변화에 대한 전망과 함께 유료방송업계의 대처방안 논의가 이뤄졌다.
방송업계는 스마트TV가 초래할 ‘미디어 빅뱅’ 가능성을 주시하며 기존의 수익 기반을 지킬 경쟁력을 서둘러 강화해야 한다는 데 중지를 모으고 있다.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은 토론회 축사를 통해 “미국 컴캐스트의 지상파 방송 인수 등 전세계 방송시장이 뉴미디어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며 “국내 뉴미디어 리더인 케이블TV업계가 방송과 통신,유선과 무선,플랫폼과 콘텐츠의 경계를 넘나들며 융합을 실천,미래를 열어야 한다”고 말했다.
◇스마트TV,왜 위협적인가=이른바 스마트TV로 불리는 ‘인터넷 TV(Web Connected TV)’는 스마트폰의 운영체제(OS)인 구글 안드로이드나 애플의 iOS를 채택,서비스 제공자 환경을 넘어 무한히 확장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업체의 서비스 기반을 허물어뜨릴 폭발력을 갖고 있다.
지상파와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등이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거나 콘텐츠가 제공되는 플랫폼을 독점,이를 토대로 수익성을 보장받아왔다면 스마트TV는 TV 기반 위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구현이 가능해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찾아가는 맞춤형 구성이 가능해진다.
스마트폰처럼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 형태와 향유하는 방식을 자신의 구미에 맞춰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미 미국과 영국 등지에서 다양하게 구현되고 있는 인터넷상의 방송 형태는 TV가 더는 콘텐츠를 독점할 수 없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삼성전자는 최근 스마트TV 상에서 스카이프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구현,사용자가 자유롭게 화상통화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선보였다.스마트TV가 TV의 한계를 넘어 통신의 영역까지 넘볼 수 있음을 보여준 실례다.
TV에 익숙한 사용자들의 미디어 소비 습관과 SO와 채널사용사업자(PP) 중심의 고급 콘텐츠 유통구조를 감안할 때 기존 TV의 아성이 쉽게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도 여전하다.
그러나 인터넷과 주문형비디오(VOD)에 더 익숙한 20~30대 젊은 세대의 등장은 기존 TV 매체의 영향력 위축과 진화가 불가피한 대세임을 뒷받침하는 시대적 추세다.
최선규 명지대 디지털미디어학과 교수는 이날 토론회 발제문을 통해 “TV의 스마트화는 콘텐츠,플랫폼,단말기 회사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고 크로스오버(cross over)를 초래한다”며 “스마트TV를 통해 수용자들이 지상파나 유료방송사업자 지배를 벗어나려 할 것인 만큼 사업자들이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상당한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플랫폼 다변화,킬러콘텐츠 확보,수익기반 확대가 열쇠=주요 SO인 CJ헬로비전이 인터넷상의 TV서비스 ‘티빙’을 출시,자사 제공 플랫폼 기반을 확대하는 사례는 국내 시장도 더는 TV 따로,인터넷 따로,모바일 기기 따로식 전략이 통할 수 없는 환경으로 치닫고 있음을 보여준다.
콘텐츠 질과 가격으로 경쟁하는 환경의 도래는 더 이상 국내 유료방송업자들이 독점적 지역기반에 안주할 수 없게끔 하는 동인이다.
한양대 박승권 교수는 “향후 오픈 플랫폼의 발달에 따라 콘텐츠 사업자와 소비자가 직접 연결되거나 기술과 규제 완화가 더욱 가속화하는 등 변화가 예상된다”며 “콘텐츠 앱스토어가 상당한 파괴력을 지닌 독점적 PP가 될 가능성이 큰 만큼 유료방송업체들도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물론 구글과 애플이 인터넷 기반 콘텐츠 중심의 스마트TV 전략을 실행에 옮기고 있어 콘텐츠 경쟁력을 갖춘 전통적 방송업계로선 시간을 벌었다는 지적도 있다.
심상민 성신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유튜브 동영상 등은 현재 방송 콘텐츠와 비교하면 B급 수준”이라며 “향후 2~3년간 이러한 페이스가 유지될 수 있는 만큼 유료방송업계는 여유를 두고 준비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방송시장이 어떠한 구도로 변화하든 킬러콘텐츠 제작 및 확보는 무엇보다 기존 방송업체들의 경쟁력 유지의 핵심적 기반이 될 전망이다.
SBS가 온갖 비난을 감수하고 월드컵 중계권 등을 독점 확보하고,CJ미디어가 tvN의 경쟁력을 높이려고 막대한 투자를 감수한 것은 이를 반영하는 사례들이다.
주요 SO인 C사의 전략기획을 담당하는 H모 과장은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종합편성채널 도입을 굳이 하지 않더라도 업계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고 변화를 강요하는 미디어 빅뱅은 이미 진행 중”이라며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기존의 수익구조에 안주하는 업체들은 도태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