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값’ 된 김값

‘金값’ 된 김값

곽소영 기자
곽소영 기자
입력 2024-06-06 00:49
업데이트 2024-06-06 00: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월 김 물가 17.8% 폭등… 6년 4개월 만에 최고

이미지 확대
수출용 김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김 물가가 6년 4개월 만에 가장 크게 올랐다. 김을 활용한 가공식품이나 김밥 등 외식 가격에도 영향을 미쳐 가뜩이나 부담스러운 먹거리 물가에 더 부담이 되고 있다.

●마른김 100장 가격 56% 뛰어

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김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5월보다 17.8% 올랐다. 2018년 1월 19.3% 상승한 이후 6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이다. 수산물 평균 물가 상승률인 0.1%는 물론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2.7%를 크게 웃돌았다.

김 물가 상승은 해외에서 냉동김밥, 김스낵 등이 인기를 끌면서 수출 물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지난해 김 수출량은 1만 8599t으로 전년보다 12.4% 증가했다. 수출액 역시 7억 9100만 달러(약 1조 860억원)로 사상 처음 1조원을 넘어섰다. 조미김도 덩달아 뛰었다. 지난달 8.1% 올라 2022년 11월 8.4% 이후 1년 6개월 만에 가장 크게 올랐다. 김을 사용하는 김밥 물가도 5.2% 상승했다. 외식 물가 증가율 2.8%의 두 배에 가깝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마른김 100장의 중도매 가격은 1만 7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6844원)보다 56.4% 뛰었다.

●수출 물량 확대·원초 부족이 원인

해양수산부는 김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7월 중 2700㏊ 규모의 신규 양식장을 개발할 예정이지만 이를 통한 물김 생산은 10월부터 가능해 당분간 수급 불안이 계속될 전망이다. 정기원 해수부 유통정책과장은 “수출 물량만큼 원초를 확보하려다 보니 산지 도매가격이 오른 것”이라며 “가공업체들이 마른김 형태로 확보해 둔 물량을 풀기 시작해 가격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 곽소영 기자
2024-06-06 1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