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 여의도 사옥. 태영건설 제공
건설 업계는 정부의 적시 지원이 이뤄지고 있음에도 PF 잔액이 이미 134조원 넘게 불어난 상황에서 대주들이 향후 PF 연체율 관리에 나설 것으로 보이는 만큼 자금 경색에 따른 연쇄 위기에 봉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금융권이 건설업계를 주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괜히 회사 이름이라도 잘못 거론됐다가는 위기설이 진짜 위기가 될 수 있다”고 경계했다.
실제 올해 들어 신용등급이 부여된 21개 건설사 중 8곳이 신용등급 또는 등급 전망을 강등 당했다. 한기평은 지난 22일 GS건설의 신용등급을 ‘A+(부정적)’에서 ‘A(긍정적)’로 낮췄다.
시공평가 22위인 동부건설의 신용등급도 ‘A3+’에서 ‘A3’로 내려갔다. 이 외에 부채비율이 467.9%인 신세계건설이나 코오롱글로벌 등이 PF 우발 채무로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고 거론된다.
중소 건설사 중에서는 대우산업개발, 대우조선해양건설, 대창기업, 신일 등이 올해 회생절차에 들어갔다.
이 외에도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부도난 건설회사는 총 19곳으로 24곳이 부도났던 2020년 이후 두 번째로 많았다. 전체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변경·정정·철회 포함) 건수도 이날까지 총 573건으로 2004년, 2006년에 이어 역대 3번째로 많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