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에서 명상하고 화분에 식물 심고… 마음병 보듬는 치유농업 더 늘린다 [이토록 멋진 농업]

숲에서 명상하고 화분에 식물 심고… 마음병 보듬는 치유농업 더 늘린다 [이토록 멋진 농업]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23-05-11 02:30
수정 2023-05-11 17: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치유농장 ‘드림뜰 힐링팜’ 가보니

치유숲길 걸으며 오감만족 명상
스트레스 48%·우울감 16% 감소
복지·교육 등과 연계 인증제 도입
농진청 “2026년까지 20종 개발”
이미지 확대
전북 완주군에 있는 치유농장 ‘드림뜰 힐링팜’의 치유농업 프로그램 모습. 참가자들이 숲속에서 명상의 시간을 갖고 있다.  농촌진흥청 제공
전북 완주군에 있는 치유농장 ‘드림뜰 힐링팜’의 치유농업 프로그램 모습. 참가자들이 숲속에서 명상의 시간을 갖고 있다.
농촌진흥청 제공
“눈을 감고 숲의 바람과 소리, 향기, 숲의 맑은 기운을 느껴 보세요.”

치유길로 명명된 숲길을 걸어 사방이 나무인 공터에 도착했다. 오는 동안 농장에 핀 봄꽃들을 직접 따 담았더니 소담한 바구니가 어느새 알록달록 향기로워졌다. 자세를 낮춰 앉아 명상에 잠겼다. 피부에 살랑이는 바람결과 새소리, 은은한 숲의 향기를 온전히 느낄 때까지 눈을 감았다. 명상 후 채집한 꽃들에 카네이션을 섞어 ‘나를 위한 선물’이란 주제에 맞춰 꽃바구니를 만들었다. 핑크색 작은 카드에 내게 보내는 편지를 쓰다 보니 문득 눈가가 뜨거워졌다.
이미지 확대
전북 완주군에 있는 치유농장 ‘드림뜰 힐링팜’의 치유농업 프로그램 모습. 학생들이 화분에 식물을 심고 있다. 농촌진흥청 제공
전북 완주군에 있는 치유농장 ‘드림뜰 힐링팜’의 치유농업 프로그램 모습. 학생들이 화분에 식물을 심고 있다.
농촌진흥청 제공
지난 9일 찾은 전북 완주군 소양면의 치유농장 ‘드림뜰 힐링팜’의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일부다. 9900㎡ 규모인 이곳에서는 꽃, 허브, 채소, 동물 등을 소재로 발달장애인과 치매안심센터 어르신, 학교 아동 등에게 숲속과 농장에서 텃밭 가꾸기 등 오감을 만족시키는 다양한 원예활동과 동물 교감을 통해 마음을 치유한다.

고추 농사 등을 짓다 치유농업의 중요성을 깨닫고 8년째 이곳을 운영하고 있는 송미나 드림뜰 힐링팜 대표는 “자연과 동식물을 통해 스트레스 감소와 긍정성 향상, 어르신 대상 인지 개선을 돕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치유농업 프로그램 전후 심박동의 변화와 인체의 자율신경반응을 통해 스트레스지수를 측정하는 유비오맥파(HRV) 검사 결과 노인들의 스트레스지수는 최대 48%, 우울감은 평균 16% 이상 줄어든 연구 결과가 있다. 치유농업은 삶에 지친 이들은 물론 장애인·치매노인·학교폭력 관련자 등을 위해 농촌 경관과 환경, 농업 활동과 같은 농촌 자원을 활용해 사회적·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이다. 2020년 치유농업육성법 제정을 계기로 정부는 치유농업 확대를 꾀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올해 치유농업에 대한 국민적 신뢰도를 높이고 복지·교육 등과 연계한 실질적인 치유농업 활성화를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연내 우수 치유농업시설 인증제를 도입하는 한편 2026년까지 보건복지부의 정신건강복지센터, 교육부의 학생 심리·상담지원 위(Wee)프로젝트 등과 연계한 사회서비스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해 치유농장 모델을 20종으로 확대하고 질병·장애인 대상 프로그램을 개발해 과학적 효과 검증에도 나설 계획이다. 또 치유농업 확산을 위해 국가전문자격증인 치유농업사 등 전문인력을 2026년까지 1700명 수준으로 늘리고 전국에 치유농업확산센터를 구축하고 있다.

김광진 농진청 도시농업과장은 “식물 등 살아 있는 자연을 통해 내 몸의 치유 시스템을 활성화시키고 환경오염과 우울증 등 도시에서 얻은 문제를 농촌 자원으로 해결하는 치유농업의 사회·환경·경제적 가치는 5조 2000억원에 달한다”고 말했다.
2023-05-11 17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