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월성 원전 건식저장시설 만져보니… “방사능 수치 자연 상태보다 낮아”

[르포] 월성 원전 건식저장시설 만져보니… “방사능 수치 자연 상태보다 낮아”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23-04-02 19:21
수정 2023-04-04 00: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월성 원전 중수로 건식저장시설에 가보니

방사성 수치 서울보다 낮아
월성 1~4호기 사용후핵연료 보관
맥스터 내진설계로 안전성 강화
두께 1m 등 다중차폐방식 적용
경수로 건식저장시설 한 곳도 없어
“고준위방폐장특별법 조속 처리해야”
이미지 확대
경북 경주시 월성원자력본부 부지 내에 있는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시설인 맥스터 모습. 전력 없이 외벽에 나 있는 통풍구를 통해 자연 바람으로 냉각시킨다. 한수원 제공
경북 경주시 월성원자력본부 부지 내에 있는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시설인 맥스터 모습. 전력 없이 외벽에 나 있는 통풍구를 통해 자연 바람으로 냉각시킨다. 한수원 제공
“원전 부지 내부인데도 서울의 자연 방사능 수치보다 더 낮습니다.”

지난달 30일 세종시에서 3시간여를 달려 도착한 경북 경주시 월성 원자력발전소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 김성철 한국수력원자력 월성2발전소 연료부 차장은 휴대용 방사선측량계(ADR)를 가리키며 이렇게 말했다. 건식저장시설 입구에 들어서기 전부터 가슴에 착용했던 ADR의 수치는 건식저장시설 바로 옆에서 손으로 외벽을 접촉한 상태에서도 계속 ‘0’을 가리키고 있었다.

통상 아스팔트 등 일상 생활 속 자연 방사선 수치는 시간당 0.1~0.3μSv(마이크로시버트)로 알려져 있다. 시설 입구에 세워진 실시간 외부 방사선 선량계는 0.097μSv를 표시해주고 있었다. 실시간 국가환경방사선자동감시망(eRAD) 앱을 통해 2일 확인한 서울과 세종의 방사선 수치는 0.13μSv을 웃돌면서 월성보다 높았다.

월성본부 직원은 안전성을 묻자 “1600명의 한수원 직원과 협력사 직원들까지 3200명이 이곳에서 근무하고 있고 가족들도 근처에서 생활하고 있다”면서 “방사선 유출로 안전 문제가 있다면 이곳에서 살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이미지 확대
경북 경주시 월성원자력본부 부지 내에 있는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시설인 캐니스터 300기 모습. 1992년 처음 만들어졌으며 자연 바람으로 냉각시킨다. 한수원 제공
경북 경주시 월성원자력본부 부지 내에 있는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시설인 캐니스터 300기 모습. 1992년 처음 만들어졌으며 자연 바람으로 냉각시킨다. 한수원 제공
맥스터 2차 내진설계 7로 강화
전력 필요 없는 자연 바람 냉각
건식저장시설은 원전 부지 내 지상에 만들어지는 사용후핵연료의 영구 저장 전 보관하는 임시 중간저장시설이다. 금속·콘크리트 용기에 담아 방사선을 차폐하고 자연 대류 방식으로 열을 냉각시킨다. 1992년 처음 만들어진 월성 건식저장시설에는 월성 1~4호기에서 나오는 중수로 사용후핵연료를 보관하고 있다. 6.5m 높이의 흰 수직 원통형의 캐니스터 저장시설 300기에는 한 기당 540다발씩 16만 2000다발이 저장돼 있다.

김 차장은 “원전 내 물이 채워진 습식저장조에서 6~7년 정도 식힌 연료를 특수차량으로 이곳에 옮기는데 연료를 장전하는 곳은 모두 카메라 촬영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원자로 내부의 연료봉은 1000도를 훌쩍 넘기지만 건식저장시설로 옮겨질 때 쯤 연료의 온도는 150도로 크게 낮아진 상태다.

이후 만들어진 조밀건식저장시설인 맥스터는 7.6m 높이에 수직 장전이 가능한 직육면체형 모양의 건물 총 2개가 있는데 각각 7기, 총 14기 안에 한 기당 2만 4000다발씩 총 33만 6000다발을 저장할 수 있다.

지난해 3월 완공된 2차 맥스터의 회색빛 외관은 2010년 4월 저장을 시작해 12년 만에 가득찬 1차 맥스터보다 한결 깨끗했다. 맥스터 2차는 내진 설계를 진도 7까지 견딜 수 있도록 강화했다. 맥스터 아래쪽에는 찬 공기를 흡입하는 통풍구가 한 면에 5개씩 양쪽에 있었고 위쪽에는 방폐물을 식힌 열이 빠져나가는 통풍구가 한 면에 6개씩 보였다. 외벽이나 통풍구를 만져보니 열감은 전혀 느껴지지 않았다.
이미지 확대
경북 경주 월성원자력발전소 전경. 연합뉴스
경북 경주 월성원자력발전소 전경.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6면-사용후핵연료 예상 발생량
6면-사용후핵연료 예상 발생량
한수원 관계자는 “맥스터는 진도 6.5~7.0의 내진 설계가 돼 있고 전기가 필요 없는 자연 바람으로 사용후핵연료를 냉각하기 때문에 설비 고장이 날 우려도 없다”면서 “특히 외부 1m 두께의 콘크리트 벽체와 내부 1㎝의 금속실린더의 이중구조 등 다중차폐방식을 적용해 실생활 수준으로 방사선을 차단해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사용후핵연료는 95% 재처리가 가능하지만 한국은 한반도 비핵화 등 국제적 핵확산 방지를 이유로 처리하지 못하고 있다.

2030년부터 한빛·한울·고리 순차 포화
경수로 건식저장시설 단 한 곳도 없어
사용후핵연료의 영구저장시설을 짓기 위한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정은 여전히 국회 계류 중이다. 7년 뒤인 2030년부터 한빛(전남 영광) 원전을 시작으로, 2031년 한울(경북 울진), 2032년 고리(부산 기장) 원전이 차례로 사용후핵연료 저장고가 포화된다. 지하 500m~1000m 깊이에 저장하는 영구처분시설은 부지선정에서 건설까지 37년이 걸린다.

월성을 제외한 다른 원전들은 모두 경수로 원전이다. 주민들의 반대로 아직까지 경수로 건식저장시설은 단 한 곳도 없다. 지난달 7일에도 부산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고리 원전 내 사용후핵연료 경수로 건식저장시설 설치 설명회는 시민단체의 반발로 무산됐다.

한수원 관계자는 “빛(전기)을 쓰는 대신 빚(사용후핵연료)이 남는다. 우리가 사용한 사용후핵연료를 미래 세대의 빚으로 남기지 않으려면 정권이 바뀌어도 안정적으로 추진될 고준위 방폐장 특별법을 조속히 제정해야 한다”면서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안전한 원전 해체를 위해서라도 경수로 건식저장시설의 건립과 연료 반출시기 등을 법에 명시해 불필요한 오해를 없앨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왼쪽부터 돔 모양의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 1, 2, 3호기. 연합뉴스
왼쪽부터 돔 모양의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 1, 2, 3호기.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경북 경주시 월성원자력본부 부지 내에 있는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시설인 맥스터 모습. 전력 없이 외벽에 나 있는 통풍구를 통해 자연 바람으로 냉각시킨다. 한수원 제공
경북 경주시 월성원자력본부 부지 내에 있는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시설인 맥스터 모습. 전력 없이 외벽에 나 있는 통풍구를 통해 자연 바람으로 냉각시킨다. 한수원 제공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