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SM 공개매수 ‘오버부킹’… 하이브는 수백억 손실 가능성

카카오, SM 공개매수 ‘오버부킹’… 하이브는 수백억 손실 가능성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23-03-27 01:19
수정 2023-03-27 06: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카카오 목표 물량 35% 넘어서
하이브 남은 지분 당분간 떠안아
시세차익에도 주가 하락 땐 손해

이미지 확대
카카오 하이브 SM 로고
카카오 하이브 SM 로고
SM엔터테인먼트(이하 SM) 경영권을 확보하기 위해 진행한 카카오의 공개매수가 당초 목표 물량을 넘어선 ‘오버부킹’으로 마무리되면서 향후 SM 주가 하향 시 하이브가 최소 수백억원대 손실을 떠안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24일 SM 발행 주식의 35%(833만 3641주)를 주당 15만원에 사들이는 카카오의 공개매수는 목표 물량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공개매수로 카카오와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SM 지분 20.78%와 19.13%를 각각 보유하게 되면서 카카오그룹이 SM 지분의 39.91%를 가진 최대 주주에 올랐다.

문제는 하이브다. 지난 24일 보유 중인 SM 지분 15.78%(375만 7237주) 전량을 공개매수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처분하겠다고 밝혔으나 카카오가 초과분은 매입하지 않고 안분비례로 매수 물량을 할당할 방침이어서 공개매수로 팔지 못한 물량을 당분간 떠안고 있어야 한다. 현재 10만원 수준으로 빠진 SM 주가가 9만원대로 떨어지면 공개매수로 처분하지 못한 물량으로 인한 평가손실액이 700억원대에 이르게 된다.

정확한 공개매수 경쟁률은 이르면 27일 공개될 예정이지만, 카카오와 카카오엔터, SM의 자기주식, 얼라인파트너스 등을 제외하고 모든 기관과 개인이 공개매수에 참여했다고 가정하면 공개매수 청약이 가능한 주식 수는 2207만주로, 청약경쟁률은 최고 2.65대1로 추산된다. 이 경우 참여자들이 내놓은 물량의 37% 정도만 카카오에 매각할 수 있는데, 하이브는 보유 주식 중 141만여주만 팔 수 있다. 당초 하이브는 주당 12만원에 SM 주식을 사들였기 때문에 이번 공개매수로 최소 425억원의 시세차익을 얻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남은 보유 물량으로 인해 주가 하락 시 오히려 손해를 볼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SM 주가는 카카오가 공개매수에 나선다는 소식에 15만원대까지 치솟았으나 하이브가 인수전에서 물러나면서 지난 24일 10만 7200원에 장을 마쳤다.

2023-03-2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5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5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