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경제 둔화… 하반기 中 리오프닝 영향에 회복 빠를 듯”

“상반기 경제 둔화… 하반기 中 리오프닝 영향에 회복 빠를 듯”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23-02-10 01:55
수정 2023-02-10 01: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KDI 올 성장률 전망 1.8% 유지

상반기 성장률 전망치 1.4→ 1.1%
물가상승률은 3.2→ 3.5%로 상향
中 관광객·유가 하락이 회복 ‘촉매’
이미지 확대
국책연구원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상반기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4%에서 1.1%로 내렸다. 다만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영향을 받아 하반기 경제 회복 속도가 기존 전망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것이란 논리를 내세우며 올해 성장률 전망치 1.8%를 유지했다. 물가상승률은 공공요금 인상 영향을 고려해 종전 3.2%에서 3.5%로 0.3% 포인트 높였다.

KDI는 9일 수정경제전망 발표에서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지난해 11월 전망 때 수치 그대로 제시했다. 그런데 경제성장의 한 축인 민간소비 성장률 전망에 대해 KDI는 기존 3.1%보다 0.3% 포인트 낮은 2.8%로 수정했다. 공공요금을 비롯해 물가가 상승하면서 실질소득이 감소, 민간 소비가 위축될 것이란 설명이다.

결국 기존 예측치인 1.8%의 경제성장률을 유지하려면 수출, 설비투자 등 다른 지표에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지표 개선의 촉매로 중국발 영향력을 지목한 셈이다. 중국 리오프닝, 국제유가 하락의 파장이 미치는 하반기에 경기 반전이 빠르게 이루어질 것이라는 기대 속에서 KDI는 하반기 경제성장률 전망을 기존 2.1%에서 2.4%로 상향했다.

KDI는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수출은 중국 리오프닝에 따른 외국인 관광객 유입 확대를 반영해 서비스 수출을 중심으로 상향 조정될 것”이라며 서비스 수출 증가율 전망치를 기존 1.6%에서 1.8%로 높여 잡았다. 경상수지의 경우 160억 달러 흑자에서 275억 달러 흑자로 큰 폭 상향 조정을 했다. KDI는 “(경상수지 조정에) 수출 증가율의 상향 조정 및 국제유가 하락으로 수입 가격 하락폭이 확대되는 상황에 따른 교역조건 상향 조건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KDI의 이번 전망은 앞서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를 전망하는 시각과 차이를 보였다. IMF는 최근 세계경제성장률을 2.9%로 0.2% 포인트 높인 반면 한국의 성장률은 종전 2.0%에서 1.7%로 낮춰 발표한 바 있다.

2023-02-10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