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항 정상화에도 발 묶인 항공기
미주·유럽·중동 노선 60%대 회복국제선 절반 차지하던 동북아 노선
중일 입국자 제한에 회복률 더뎌
“양국 방역당국 반대에 재개 지연”
국토교통부는 코로나19 발생 이전 대비 전체 국제선 항공편은 33.3%까지 복원됐다고 4일 전했다. 2019년 주당 국제선 항공편은 모두 4714편이었으나 올해 4월에는 432건으로 줄어들었다가 정부가 국제선 항공편 정상화를 추진하면서 7월 말 현재 1570편까지 늘어나면서 회복 중이다.
그러나 지역별 회복률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미주 노선은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해 66%까지 회복했고, 중동·아프리카 노선은 62.5%, 유럽 노선은 60%까지 복원됐다. 동남아 노선도 52% 회복했다.
그러나 동북아 노선(중국·일본·몽골·홍콩·마카오·대만)의 회복률은 16%에 머물고 있다. 2019년 주당 2522편이었던 동북아 국제선 운항 편수는 7월 말 현재 405편에 불과하다. 동북아 노선은 전체 국제선 노선의 절반 이상(2522편)을 차지하지만 운항 편수가 많은 중국과 일본 노선에서 여전히 빗장이 풀리지 않아 회복률이 더딘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 노선은 2019년 1164편에서 현재는 임시 증편을 포함, 31편만 겨우 뜨고 있다. 일본 노선 역시 845편 가운데 278편만 운행되고 있다. 중국 국제선에는 15개 지역 15개 노선에 양국이 각각 주 1회씩 운행 중이다. 중국 방역 당국이 코로나 제로를 이유로 국제선 운행 확대를 제한하기 때문이다.
일본은 직접적인 편수 제한보다는 하루 해외 입국자 수(내외국인 포함 2만명)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국제선 운항 회복에 제한을 두고 있다. 단체관광 입국만 허용하고 개인관광 비자를 내주지 않는 식으로 제한해 2019년 845편이던 국제선 운항 편수는 현재 278편에 불과하다.
우리나라는 지난 4월부터 국제선 항공편을 늘리기 시작했고, 6월부터는 인천국제공항의 ‘커퓨’(항공기 운항 통제 시간)와 ‘슬롯’(시간당 항공기 도착 제한) 규제를 푸는 등 국제선 운항을 정상화했다. 그러나 실제 국제선 항공기 운항은 국가 간 협정에 따라 이뤄지기 때문에 한 국가에서 항공 수요가 증가해도 일방적으로 운항 편수를 늘리지는 못한다.
김남균 국토부 국제항공과장은 “중국, 일본의 항공 당국과 중단된 국제선 운항 재개를 꾸준히 논의하고 있지만, 해당 국가 방역 당국의 반대가 거세 국제선 운항 회복이 지연되고 있다”고 말했다.
2022-08-05 1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