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보다 14만명 많은 2596만명
공기관 지방이전 끝나 순유입 돌아서“지방혁신도시·쿼터제 등 사실상 실패”
수도권 인구 추이 및 전망
29일 통계청의 ‘최근 20년간 수도권 인구이동과 향후 인구 전망’ 자료를 보면 올해 수도권 인구는 2596만명으로 비수도권(2582만명)을 14만명 웃돌 것으로 전망된다. 1970년 913만명이었던 수도권 인구는 지난 50년간 1683만명(188.4%)이나 증가한 반면 비수도권은 271만명(11.7%) 늘어나는 데 그쳐 역전된 것이다.
수도권 인구는 2032년 2650만명까지 늘었다가 이후 인구 감소세로 2070년엔 1983만명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비수도권은 2018년(2593만명) 정점을 찍고 내리막길을 걷고 있으며, 2070년 1799만명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권 이동 현상은 도시화 진행과 함께 지난 수십년간 이어졌다가 2010년대 들어 주춤했다. 2011년(-8000명)부터 2016년(-1000명)까지 6년 연속 들어온 인구보다 나간 인구가 많은 순유출 현상이 나타났다.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과 정부 부처의 세종시 이전 영향 때문이다. 하지만 지방 이전이 마무리된 2017년(1만 6000명)부터 다시 순유입이 시작됐고, 지난해엔 8만 3000명이나 새로 들어왔다.
연령대별로 보면 10대와 20대는 최근 20년간 지속적으로 수도권으로 순유입됐고, 2016년부터는 그 규모가 증가했다. 2008~2017년 10년 연속 순유출됐던 30대도 2018년부터 순유입으로 돌아섰다. 지역별로는 영남권과 호남권에서의 순유입이 많았다. 지난해는 영남권에서 5만 500명, 호남권에서 2만 1000명이 각각 들어왔다. 반면 중부권은 8000명에 그쳤다. 수도권 유입은 가족과 함께 움직이는 것이 아닌 1인 이동이 많은데, 학교나 직장을 찾아 온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조영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수도권에 우리나라 인구 절반 이상이 살고 있는 현상을 정상이라고 보긴 힘들다”며 “앞서 지방 혁신도시나 지방 쿼터제 등을 통한 지방 분산 시도가 있었지만 사실상 실패했다. 지방대학 개혁부터 시작해 보다 근본적인 인프라 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종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세종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2020-06-30 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