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계 고위층이 내려받는 앱…씁쓸한 ‘데이터 완전 삭제’ 열풍

정·재계 고위층이 내려받는 앱…씁쓸한 ‘데이터 완전 삭제’ 열풍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18-05-15 17:54
수정 2018-05-15 18: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
고위 관료 등 우리 사회 지도층 사이에서 ‘컴플리트 와이프’(complete wipe)라는 무명 애플리케이션(앱)이 때아닌 열풍이다. 스마트폰에 남아 있는 데이터를 ‘완벽하게 청소해 준다’는 뜻이다. 휴대전화 주인이 문자메시지 등을 삭제한 뒤 이 앱을 실행하면 디지털포렌식으로도 복원이나 복구를 못 시킨다는 입소문이 나면서 ‘핫’한 앱으로 퍼져 나가고 있다. 이른바 ‘장충기 문자’ 파동 이후 생겨난 신풍속도다.
이미지 확대
15일 업계에 따르면 ‘컴플리트 와이프’는 국내 스타트업(신생기업) 새놈스가 2014년 6월 출시했다. 스마트폰에서 파일을 삭제한 뒤 앱을 실행해 ‘완전 삭제’를 클릭하면 된다. 지울 파일 용량에 따라 5분에서 최대 1시간 30분이 걸린다. 2기가바이트(GB) 상당 문자나 사진 데이터를 지우는 데는 4분 남짓이면 된다. 출시 초기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으나 최근 경제관료들 사이에 소문이 나면서 다운로드 수가 1만건을 넘어섰다. 유사한 앱으로 100만 다운로드를 기록한 히스토리 이레이저를 비롯해 시큐어 불도저 프로, 슈레드잇, 캐시 이미지 클리너 등이 있다.

이른바 ‘데이터 완전 삭제’ 앱으로 불리는 이런 앱들은 당초 개인정보 누출에 대한 손해배상과 기업 차원의 과징금이 높아진 2014년을 전후해 앞다퉈 출시됐다. 이후 한동안 시들해졌다. 그러다가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와 맞물려 장충기 전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사장이 정치인, 관료, 언론인 등과 주고받은 문자메시지가 무차별적으로 공개되면서 다시 수요가 늘고 있다는 게 업계의 전언이다.

디지털포렌식 업체 관계자는 “파일을 삭제해도 메모리 특정공간의 해당 주소값만 삭제된다”면서 “이 해당 블록 위에 의미 없는 각종 파일을 여러 번 덮어씌워 그 전에 뭐가 저장됐는지 지우는 원리”라고 말했다.

이 앱을 최근에 깔았다는 한 경제부처 국장은 “나쁜 짓을 해서 증거를 없애려는 차원이라기보다는 혹시 있을지 모를 (앞뒤 문맥 자른) 망신주기용 문자 공개나 짜맞추기식 기획수사에 빌미를 주지 않으려는 자기방어 차원”이라고 강변했다.

스마트폰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는 삭제 또는 초기화하더라도 물리적으로 기록된 데이터가 메모리에 남아 있어 복원 및 재생이 가능하다. 업계 관계자는 “이런 정보들이 중고폰에 그대로 남아 불법 재유통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게 애초 청소 앱 개발 취지였다”면서 “어쩌다 이 앱이 우리 사회에서 힘깨나 쓰는 사람들의 필수품으로 변질됐는지 씁쓸하다”고 털어놓았다.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8-05-16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2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