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 뭐길래
DTI는 갚을 이자만 따졌다면DSR은 원금·이자 모두 계산
상환액 부담… 빚 줄일 장치로
‘DSR’ 하면 디지털카메라(DSLR)를 떠올리는 분도 있을 겁니다. 용어만큼이나 개념도 어려운데요. 쉽게 말해 갚을 능력만큼만 돈을 빌려주겠다는 잣대입니다. 상환 능력을 따지려면 우선 ‘버는 돈’이 얼마인지 알아야겠지요. 여기서 기존 빚을 갚는 데 얼마나 쓰고 있는지를 계산해 ‘나가는 돈’을 뺍니다.
예컨대 제 월급이 300만원이라고 칩시다. 집을 사느라 A은행에서 1억원, B저축은행에서 5000만원을 10년 만기로 빌렸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매달 나가는 돈이 원금(100만원)과 이자(50만원)를 합해 150만원이라면 분모에 300만원(월급), 분자에 150만원(나가는 돈 총합)을 넣고 100을 곱해 계산한 50%가 DSR이 됩니다.
그럼 그간 대출 상환 능력을 측정하는 데 사용했던 DTI(총부채상환비율)는 뭐냐고요? DTI는 대출금이 가장 많은 금융사 한 곳만 원리금(원금+이자)을 계산하고 나머지 금융사 빚은 이자만 따집니다. 이에 반해 DSR은 모든 금융사 빚에 대해 원금과 이자를 각각 따집니다. 신용카드사에서 빌린 돈(카드론)도 포함됩니다. 경우에 따라 자동차 할부금 등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러니 DTI보다 DSR이 빚 갚을 능력을 측정하는 데는 좀더 정확한 셈이지요. 돈을 빌리는 사람 입장에서는 더 ‘불편한’ 잣대가 DSR인 셈입니다. 카메라 들이대듯 모든 빚을 샅샅이 훑으니까요. 이렇게 되면 상환 능력이 떨어져 추가로 돈을 빌릴 수 있는 여력이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종전엔 은행이 대출해 줄 때 고객이 다른 금융사에서 빌린 대출금의 총액 정도만 알았습니다. 전산 미비로 다달이 나가는 이자와 원금 총합이 얼마인지는 알 수 없었습니다. 이 때문에 실제 고객이 대출금으로 얼마나 ‘압박’을 받는지 실제적 수치 파악은 안 됐던 셈이지요. 하지만 지금은 전산도 발달한 데다 모든 금융사 정보를 한 곳에 모은 신용정보원까지 출범해 실태 파악이 가능해졌습니다.
아직 정부는 DSR이 몇% 이상이면 추가 대출을 금지하겠다는 구체적 기준은 확정하지 않았습니다. DSR에 포함시킬 ‘빚’의 종류도 열심히 갈무리 중입니다. 확실한 것은 이 잣대가 본격적으로 활용되면 돈 빌리기가 예전보다 훨씬 어려워질 것이라는 겁니다. 지순구 은행연합회 수신제도부장은 “지금부터라도 원금 상환액이 적어지도록 기존 대출금을 만기가 긴 상품으로 바꾸고 (부지런히 빚을 갚아) 대출 총액을 줄이는 것이 부담을 줄이는 방법”이라고 조언합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7-02-23 2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