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물가 ‘비상’] 무 한 개 담은 설 장바구니… “딱 조상님 드실 만큼만”

[치솟는 물가 ‘비상’] 무 한 개 담은 설 장바구니… “딱 조상님 드실 만큼만”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7-01-17 22:26
업데이트 2017-01-17 23: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5개 식품 작년보다 8.7%↑…소고기·고추·마늘은 시장 배추·부침가루는 마트가 싸

“딱 차례상에 올린 만큼만 사려고요. 아무리 비싸도 탕국에 무 빼고, 전에 계란 옷 안 입힐 수 있나요.” 17일 경기 부천 역곡상상시장에서 장을 본 이정숙(65)씨의 말이다. 그의 장바구니에는 1만 2000원 주고 산 계란 한 판과 지난해 설보다 두 배 오른 무 한 개가 담겨 있었다.

연초부터 껑충 뛴 물가 탓에 설 차례상을 준비하는 주부들의 시름이 깊다. 한국소비자원이 설을 2주 앞둔 지난 13일 차례상에 오르는 25개 식품 가격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보다 평균 8.7%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재배면적이 줄고 태풍 피해를 본 무값이 2592원으로 지난해(1262원)보다 105.4% 올라 상승폭이 가장 컸다. 지난여름 폭염으로 값이 급등한 배추는 41.1%, 조류인플루엔자(AI) 영향을 받은 계란은 15.8% 올랐다. 차례상에 빠지지 않는 돼지고기와 소고기 값도 각각 8.6%, 6.2% 상승했다.

4인 가족 기준의 설 상차림 비용은 전통시장이 19만 3504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백화점이 29만 2680원으로 가장 비쌌다.

기업형 슈퍼마켓(SSM)은 23만 5782원, 대형마트는 21만 3323원이었다. 품목별로 소고기와 고추, 버섯, 마늘은 전통시장이 더 저렴했고, 돼지고기와 배추, 시금치, 부침가루는 대형마트가 더 쌌다.

앞서 지난 10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도 28개 설 성수품 가격을 조사했는데 전통시장은 25만 4000원, 대형마트는 34만 1000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8.1%, 0.9% 올랐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01-18 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