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등급 수 금융위기 후 최대치
주력산업 떠받치던 제조업 부진은행권 추가 충당금 3200억원
금융감독원은 신용공여액 500억원 미만 기업 2035곳을 대상으로 신용위험평가를 진행한 결과 C등급(71곳)과 D등급(105곳)으로 분류돼 구조조정 수술대에 오른 기업이 총 176곳이라고 6일 발표했다. C등급은 채권단 공동관리를 통한 워크아웃, D등급은 법정관리 절차를 밟게 된다.
2013년 112곳, 2014년 125곳으로 증가세를 이어 가던 구조조정 대상 기업은 지난해 175곳으로 급증했다. 올해는 1곳(C등급)이 더 늘어나 다시 한번 금융위기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우리나라의 주력 산업인 전기·전자, 자동차업종 등과 관련한 부품 제조 중소기업이 구조조정 명단에 대거 포함됐다.
업종별로 보면 금속가공품제조업이 22개사로 가장 많았다. 전자부품제조업(20개사), 기계장비제조업(19개사), 고무·플라스틱제조업(14개사) 등이 뒤를 이었다. 조선(7곳), 석유화학(5곳), 자동차(5곳), 철강(5곳), 해운(3곳) 등 우리 주력 산업을 지탱하는 중소기업들도 대거 구조조정 명단에 올랐다. 내수 침체까지 더해져 골프장 4곳을 포함한 스포츠서비스(5곳), 숙박(2곳), 음식점(2곳) 등에도 한파가 몰아쳤다.
올해 9월 말 기준 구조조정 대상 기업에 대한 금융권의 신용공여액은 1조 9720억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같은 기간(2조 2204억원)에 비해 다소 감소했다. 금융권역별로는 은행권(1조 7000억원)이 대부분(88.6%)을 차지했다. 워크아웃, 회생절차 등 구조조정 추진에 따른 자산건전성 재분류 시 은행권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예상액은 약 3200억원이다. 금감원 측은 “은행권의 손실흡수 여력을 감안하면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6-12-07 1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