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기업 “기한 촉박해 완제품 반출 애로…설비는 검토토 못해”
개성공업지구(개성공단) 가동이 전면 중단되면서 손실을 입게 된 입주기업들이 11일 긴급이사회를 열고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를 꾸린다.입주업체들은 이날 오전 9시부터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CIQ)를 통한 남측 인원의 개성공단 출입경이 시작되자 완제품 반출에 나섰다.
다만, 업체 관계자들은 북한 근로자들 대부분이 출근하지 않아 극소수 인원으로 현장을 정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는데다 기한이 촉박해 설비 반출은 검토토 못하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개성공단기업협회는 이날 오후 5시께 여의도에서 긴급이사회를 열고 향후 대책 마련을 위한 비대위 구성 안건을 승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기섭 개성공단기업협회장은 “비대위를 통해 정부의 책임있는 조치를 촉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개성공단에 입주한 124개 업체 대표 대부분이 참여할 비대위는 피해 상황을 공유하고 남북경협보험 외의 금융 지원과 공단 대체부지 확보 등 개성공단 가동 중단에 따라 요구되는 후속대책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입주기업들은 이날 오전 출입경이 시작되자마자 완제품과 원·부자재 회수를 위해 화물트럭과 인력을 개성공단으로 보냈다.
국내에 다른 생산공장을 둔 중견기업의 경우 남북관계가 경색될 때마다 개성공단 생산 물량을 체계적으로 축소하는 등 상황에 따른 대응을 했고, 재고가 많지 않은 업체의 경우 제품이나 기자재 회수보다는 일단 상주직원의 안전한 귀환에만 신경쓰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개성공단에 생산량 대부분을 의존하는 다수의 소기업들은 완제품과 설비 회수 여부에 따른 재산 손실 가능성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
특히 정부가 정한 철수 시한(13일)이 너무 촉박한데다 개성공단 북측 근로자들 대부분이 이날 출근하지 않아 완제품을 옮길 인력도 턱없이 부족하다고 입주업체 관계자들은 입을 모았다.
입경이 본격화하는 이날 오후까지 완제품 반출과 관련해 북측과의 특별한 마찰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생산설비의 경우 평소에도 이동이 자유롭지 않았던데다 철수 시한이 짧아 반출 검토조차 못 했다는 기업도 적지 않다.
개성공단에 입주한 한 의류업체 대표는 “1개 회사당 트럭 1대, 사람 2명이 들어가는데 이런 상황에서 물리적으로 물건과 설비를 어떻게 빼올 수 있겠느냐”며 “북한 근로자가 출근을 안하면 물건 운반을 도와줄 사람도 없다”고 한탄했다.
다른 의류업체 임원 역시 “북측 근로자 전원이 출근을 안한 건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우리쪽(섬유·봉제·의복업종 입주지역 일부)에는 출근한 사람이 없다고 들었다”며 “그나마 화물 트럭이 올라갈 수 있으니 완제품의 20∼30%라도 갖고 내려올 수 있으면 다행”이라고 말했다.
정기섭 회장은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 북측이 설비 반출은 막더라도 원부자재와 완제품 반출까지 막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직접 구매한 원부자재도 있지만 (OEM) 기업들은 (원청업체에서) 받은 경우도 있다”며 “자동차 회사에 안전화를 납품하는 한 업체는 3월을 납기일로 물건을 생산해왔는데 원자재를 빼와야 다른 공장이라도 수소문해서 손실을 줄일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재고나 설비투자에 따른 손실 외에 북측 근로자의 퇴직금 등 부가적으로 발생할 손실에 대해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 회장은 “1년 이상 근무한 종업원은 퇴직보조금을 줘야 해 북측이 이 문제를 들고나올 개연성이 크다”며 “5만4천명의 평균 근속기간을 8년, 월급을 200달러 정도로 잡고 추산해보면 퇴직보조금만 1억달러 정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